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국어 연구의 이론과 방법 = 11
1. 연구의 대상 = 11
2. 연구의 목적 = 13
3. 연구의 이론과 방법 = 15
제2장 언어의 범추와 범주화 = 19
1. 실제와 언어 인식 = 19
2. 범주와 범주화 = 23
1) 고전적 범주 이론 = 24
2) 원형 범주 이론 = 27
3. 언어의 법주화 = 30
1) 음성과 음운의 범주 = 30
2) 의미의 범주 = 33
3) 단어와 품사의 범주 = 34
4) 문장의 범주 = 43
5) 담화의 범주 = 44
제3장 문장과 담화의 분석 = 47
1. 문장의 구조 = 47
1) 직접구성성분 = 49
2) 어순과 계층 = 51
3) 구조의 인식 = 60
2. 문장의 의미 관계 = 62
1) 명제와 술어 논리 = 62
2) 메타포 = 67
3. 담화의 분석 = 70
제4장 단어와 형태소의 분석 = 73
1. 단어의 분석 = 73
1) 단어의 분석과 어원 = 73
2) 합성어와 파생어 = 78
3) 연어와 관용어 = 86
2. 형태소의 분석 = 89
1) 형태소 분석과 분석의 한계 = 89
2) 형태의 여러 가지 모습 = 98
제5장 의미와 소리의 분석 = 101
1. 의미의 분석과 설명 = 101
1) 의미 자질과 성분분석 = 103
2) 단어의 의미 구조와 의미 관계 = 108
2. 소리의 분석과 설명 = 111
1) 음절 = 111
2) 음소와 음성 = 114
제6장 언어의 체계 = 118
1. 소리의 체계 = 118
2. 단어의 체계 = 122
3. 문장의 체계: 체언과 용언 = 123
1) 체언과 조사 = 124
2) 용언과 어미 = 127
제7장 문장의 구성과 생성 = 134
1. 논항과 격 = 134
2. 문장성분 = 139
1) 주어 = 139
2) 목적어 = 147
3) 보어 = 151
4) 관형어 = 153
5) 부사어 = 158
6) 독립어 = 161
3. 문장 생성의 원리 = 162
제8장 문장 유형: ''무엇이 무엇이다'' = 168
1. 서술어의 분류와 기본 문형 = 168
2. 지정사와 지정 구문 = 171
3. 지정 구문의 구조와 특징 = 173
4. 지정 범주와 판단 서술문 = 179
제9장 문장 유형: ''무엇이 어떠하다'' = 187
1. 존재와 소유 구문 = 188
1) 존재의 의미 = 188
2) 존재 구문 = 189
3) 소유 구문 = 193
2. 존재와 시간 = 196
3. 존재와 가능 구문 = 203
4. 심리 구문, 동반ㆍ대칭ㆍ비교 구문과 평가ㆍ판정 구문 = 205
제10장 문장 유형: ''무엇이 어찌하다'' = 214
1. 자동문과 타동문 = 214
2. 이동동사와 이동동사구문 = 222
3. 사유, 인지, 경험동사 구문 = 225
제11장 문법 범주와 문법 현상 = 226
1. 높임 = 227
1) 주체와 객체 높임 = 227
2) 상대높임 = 228
2. 시간 = 234
1) 시간 범주 = 234
2) 시간 어휘 = 235
3) 시제 = 237
3. 사동과 피동 = 242
1) 사동 = 243
2) 피동 = 248
4. 문장의 종결 = 250
1) 단문의 문장 종결법 = 250
2) 복문 = 251
제12장 국어의 역사와 공간 = 256
1. 한민족과 한국어 = 256
2, 국어의 역사 = 261
1) 문자, 표기와 소리 = 262
2) 체언과 조사 = 264
3) 용언과 어미의 문법 범주 = 269
3. 지역어와 남북한의 언어 = 277
제13장 우리의 글 한글 = 287
1. 한글(훈민정음)의 창제 = 287
2. 한글을 만든 원리 = 292
1) 훈민정음 제자 원리 = 294
2) 철학적 원리 = 298
3) 언어학적 원리 = 301
3. 한글의 우수함 = 303
제14장 한국어와 언어유형론 = 307
1. 유형론의 이론 = 307
1) 보편성과 다앙성 = 307
2) 방법과 설명 = 311
2. 언어유형론의 주요 유형과 설명 = 317
1) 어순의 언어 유형 = 317
2) 형태론적 언어 유형 = 321
3) 격의 언어 유형 = 322
4) 시제의 언어 유형 = 324
5) 사동의 언어 유형 = 327
제15장 국어와 사회 = 331
1. 국어와 사회 = 331
2. 국어와 문법 교육 = 335
3.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 337
1) 한국어 문법과 한국어 교육 = 338
2) 한국어 기본 문형의 교육 = 348
3) 학습자의 오류와 교육 = 351
4. 국어의 정보화 = 353
1) 국어 정보화의 유형과 말뭉치 = 354
2) 기계 번역 = 360
후기 - 나의 한국어 연구의 이론과 방법 = 363
참고문헌 = 367
찾아보기 =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