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은유이론 발달의 개관
2.1. 고전이론
2.2. 경험론
2.3. 낭만주의 이론
2.4. 구조주의 이론
2.5. 후기 구조주의 이론
2.6. 인지언어학 이론
2.7. 기타 이론
제3장. 은유의 개념과 본질
3.1. 은유의 개념
3.2. 은유의 본질
3.3. 은유의 조건
3.4. 은유와 비유
3.5. 은유와 환유
제4장. 은유의 구조
4.1. 담화-텍스트형
4.2. 문장형
4.3. 구절형
4.4. 단어형
4.5. 은유와 관용어
4.6. 은유구조 이론들
제5장. 은유의 유형
5.1. 기능별 유형
5.2. 분야별 유형
5.3. 비유의 방법에 따른 유형
제6장. 은유의 생성원리와 생성요인
6.1. 은유 조어법
6.2. 은유의 확장
6.3. 화제의 명세화법
6.4. 은유와 유추
6.5. 은유와 신범주화
6.6. 은유의 생성요인
제7장. 은유표현의 양상
7.1. 반복
7.2. 변형과 다양화
7.3. 다중화
7.4. 혼성
7.5. 전경화
제8장. 은유의 해석
8.1. 문자적 언어와 은유적 언어
8.2. 언어규칙에 의한 해석
8.3. 화행이론에 의한 해석
8.4. 텍스트문법에 의한 해석
8.5. 기타의 해석 이론들
제9장. 은유의 개념화
9.1. 마음의 개념화
9.2. 말의 개념화
9.3. 사랑의 개념화
9.4. 돈의 개념화
9.5. 시간으 개념화
9.6. 이론의 개념화
9.7. 방향적 은유
9.8. 친족어 은유
9.9. 착상 은유
9.10. 기타
제10장. 언어교육으로서의 은유
10.1. 은유 사용의 교육적 효과
10.2. 은유성의 정도와 난이도
제11장. 문학에서의 은유와 상징
11.1. 문학은유의 표현 구조
11.2. 문학은유의 비유 방법
11.3. 근접은유와 원접은유
11.4. 문학적 담화에서의 은유 구조
11.5. 문학에서의 상징
제12장. 결론
참고문헌
용어색인
인명색인
은유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