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글 - 우리 말은 우리 글만으로 / 권정생

제1부 어린이를 위한 살아 있는 글쓰기
제1장 살아 있는 글은 어떤 글인가
1 ''말''이 되는 글을 써야 합니다
2 말이 안 되면 글도 될 수 없다
3 입으로 하는 말로 써야
4 귀로 들어서 알아듣기 어려운 말은 쓰지 말아야
5 살아 있는 말과 죽은 말
6 죽은 글을 쓰지 말고 살아 있는 글을 쓰세요
7 자연과 인간
8 정직하게 쓴다는 것 - 현실과 공상
9 부끄러운 글쓰기

제2장 좋은 글은 어떻게 써야 하나
1 옳은 말과 자기의 말
2 뜻밖의 말을 귀중하게
3 모방과 창조
4 시와 산문을 구별해서 쓰기
5 필요 없는 말 줄이기
6 자연스럽게 나오는 말로 써야
7 여름방학과 일기 쓰기

제3장 어린이 글에서 배우기
1 어린이 글에서 배우기
2 어린이 글 연구 - 어린이 시 세 편
3 어린이 글 연구 - 어린이 글 네 편
4 어린이 글 연구 - 어린이 글 여섯 편
5 일하는 아이들 - 30년 전 산골 아이들의 일기
6 이달에 읽을 아이들의 글
7 이달에 읽을 어린이 글 1)
8 이달에 읽을 어린이 글 2)
9 아이들을 깔아뭉개는 어른들

제2부 글쓰기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제1장 우리 교육의 문제
1 우리 말을 어떻게 배울까
2 무엇 때문에 공부를 합니까
3 참 공부와 거짓 공부
4 잡아먹히는 이야기
5 명령만 하면 교육이 될까 - 학생의 글 "휴지"를 논한 김종상 씨의 글에 대하여
6 아이들 글에 대한 이해와 오해
7 어린아이들의 말에서 배우는 글쓰기
8 아이들한테서 배우는 글쓰기 교육
9 아이들을 바보로 만드는 교육
10 우리 말의 두 갈래
11 교과서의 말
12 받아쓰기와 글쓰기
13 어른들의 글이 왜 이럴까
14 병든 어른은 아이들의 말을 모른다
15 ''왕따''와 ''집단 따돌림''
16 교육현상에 대한 비판이 필요하다
17 학용품 이야기
18 세계 어린이들의 공책

제2장 아이들 글에 나타나는 교육의 문제
1) 어른이 되어버린 아이들
1 거짓글을 왜 쓰게 도리까
2 어른들의 생각을 그대로 쓰면
3 병든 어른들의 말이 아이들에게 번져간다
4 걱정스러운 아이들의 말과 글 - 글쓰기 시평
5 어른이 되어버린 아이의 글
6 책 읽기와 글쓰기
7 당선 작품을 보는 눈
8 "어린이신문"의 글들
9 우리 말을 살리는 어린이신문 "굴렁쇠"를 아십니까

2) 삶을 잃어버린 아이들의 글
1 말을 살려야 겨레가 삽니다
2 삶을 떠난 글쓰기와 ''말의 개발''에 대하여 - 박재동 선생의 글을 읽고
3 두 아이의 글에 대한 소견 - "내가 바라는 세상"과 "욱용이"를 읽고
4 개성의 부정
5 고양이는 어떻게 살아가는가 - 고양이와 어린이
6 장난감 병아리
7 우리 마음 도로 찾기 - 말 살리기, 사람 살리기

3) 아이들 글에서 바로잡아야 할 말
1 ''매일''은 ''날마다''로 써야
2 ''게임''은 ''놀이''나 ''경기''로 써야
3 ''한 명''은 ''한 사람''이라고 해야
4 ''수업''은 ''공부''라고 해야
5 ''캠프''는 ''야영''이라고 해야
6 ''무게를 잰다''는 말이 맞을까요
7 ''-의''를 아무 데나 붙이지 않도록
8 ''-적''은 일본말입니다
9 ''한 개뿐이 없었다''는 말
10 ''있었다''와 ''있는 것이었다''
11 ''나''와 ''우리''
12 ''사랑''이란 말을 마구 쓰는 버릇
13 서양말과 일본말 따라 쓰는 말

제3장 어린이 문학이 가야 할 길
1 겨레의 어린이문학이 되기 위하여
2 문학을 잘못 알고 있는 동화 작가들
3 어린이문학의 말
4 어린이문학이 맡은 일
5 우리 말과 어린이문학

제3부 어른들의 글쓰기
제1장 글쓰기 원칙
1 왜 글을 써야 합니까 - 글쓰기에 앞서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
2 쓰고 싶어서 쓰는 글
3 좋은 글은 어떤 글인가
4 이야기글부터 쉬운 말로 써야
5 보고 들은 이야기 쓰기
6 ''참말''로 쓰는 글
7 삶을 가꾸는 글쓰기
8 사람다운 글쓰기 - 세 가지 원칙
9 삶이 있는 글과 삶이 없는 글
10 몸으로 쓴 글과 머리로 쓴 글
11 그때그때 본 것, 한 것 쓰기
12 살아온 이야기 쓰기
13 ''생활글''과 ''수필''
14 쉬운 말로 정직하게
15 한글 야학 어머니들이 처음으로 쓰는 글

제2장 시쓰기
1 시란 무엇인가
2 생활시 쓰기
3 시와 우리말 1)
4 시와 우리말 2)
5 시와 우리말 3) - 누구나 아는 말도 깨끗한 우리 말로
6 시와 우리말 4) - 쉬운 말이 살아 있는 말이다
7 시와 한자말
8 좋은 시 - 고은 선생의 시

제3장 인터뷰 글쓰기
1 말을 살려 적는 일
2 인터뷰 기사에 대하여

제4장 글 다듬어 읽기
1 좋은 책(고전) 우리 말로 다듬어 읽기 - 자연과 사람
2 좋은 글 다듬어 읽기 - 생명 사랑의 철학
3 좋은 글 다듬어 읽기 - 신문 편
4 우리 글 바로 쓰기 - 회보의 글 다듬기

꼬리글 - 겨레의 말, 그리고 어린이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