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 ⅳ
머리말 = ⅴ
01 도입
1.1. 한국어의 위상 = 3
1.2. 한국어 교육 내에서의 한국어 발음교육 = 5
02 음성학과 음운론
2.1. 음성학의 종류 = 9
2.2. 조음의 기제 = 11
2.2.1. 자음을 구분하는 기준 = 15
2.2.2. 자음과 모음의 차이점 = 21
2.2.3. 모음을 구분하는 기준 = 22
2.3. 말소리의 음향적 특성 = 28
2.3.1. 말소리의 음향적 특성 및 음향적 연구가 중요한 이유 = 28
2.3.2. 음파(sound wave) = 30
2.3.3. 스펙트럼(spectrum) = 32
2.3.4. 스펙트로그램 = 34
2.3.5. 한국어의 자음의 음향적 특성 = 35
2.3.6. 한국어의 모음의 음향적 특성 = 46
2.3.7. 한국어의 초분절 요소의 음향적 특성 = 56
2.4. 말소리의 청음, 인지, 언어처리 = 59
2.4.1. 언어처리와 뇌의 기본구조 = 59
2.4.2. 뇌의 언어처리 부분과 실어증 = 60
2.4.3. 언어와 관련된 뇌 연구 방법 = 61
2.4.4. 의료 영상기술을 활용한 뇌 관찰 방법 = 62
2.4.5. 언어처리와 심리언어학 = 64
2.5. 일반 음운론과 한국어 음운론 = 65
2.5.1. 일반 음운론 = 66
2.5.2. 한국어 음운론 = 66
03 한국어의 자음
3.1. 자음과 모음의 차이 = 71
3.2. 한국어의 자음체계 = 72
3.2.1. 조음위치에 따른 분류 = 72
3.2.2.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 74
3.2.3. 성대진동 = 77
3.2.4. 기식 및 긴장도 = 78
3.3. 한국어와 타 언어의 자음체계 비교 = 78
3.3.1.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체계 비교 = 79
3.3.2. 한국어와 일본어의 자음체계 비교 = 83
3.3.3. 한국어와 중국어의 자음체계 비교 = 86
3.4. 한국어 자음의 교육 방안 = 89
3.4.1. 자음 교육 모형 = 89
3.4.2. 자음 교육 방안 = 90
04 한국어의 모음
4.1. 단순모음과 이중모음 = 111
4.2. 한국어의 단순모음 = 111
4.2.1. 한국어의 단순모음 수 = 111
4.2.2. 단순모음 분류 기준 = 113
4.2.3. 한국어 단순모음 체계 = 116
4.3. 한국어의 이중모음 = 117
4.3.1. [W]-계 이중모음 = 117
4.3.2. [i]-계 이중모음 = 119
4.3.3. [ɰ]-계 이중모음 = 121
4.4. 한국어와 타 언어의 모음체계 비교 = 122
4.4.1. 한국어와 영어의 모음체계 비교 = 122
4.4.2.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체계 비교 = 128
4.4.3.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음체계 비교 = 132
4.5. 한국어 모음의 교육 방안 = 134
4.5.1. 모음 교육 모형 = 134
4.5.2. 모음 교육 방안 = 135
05 강세와 억양
5.1. 강세(stress) = 147
5.1.1. 언어의 운율 유형에 따른 분류 = 148
5.1.2. 표준 한국어의 강세 = 152
5.2. 억양 = 153
5.2.1. 말토막, 말마디, 문장 = 153
5.2.2. 말마디 억양과 핵억양 = 155
5.2.3. 핵억양의 종류 = 155
5.3. 한국어 강세와 억양의 교육 방안 = 158
5.3.1. 강세와 억양 교육 모형 = 159
5.3.2. 강세와 억양 교육 방안 = 159
06 음절구조 및 제약
6.1. 음절의 정의 = 171
6.2. 한국어에서의 음절 = 171
6.2.1. 한국어의 음절구조 = 172
6.2.2. 한국어의 음절화 = 173
6.2.3. 음절구조제약 = 174
6.3. 제약 = 177
6.3.1. 음소구조제약 = 178
6.3.2. 단어구조제약 = 179
6.3.3. 음소배열제약 = 179
6.3.4. 음절배열제약 = 180
6.3.5. 단어배열제약 = 181
6.4. 한국어와 타 언어의 음절구조 비교 = 181
6.4.1. 한국어와 영어의 음절구조 비교 = 181
6.4.2.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절구조 비교 = 182
6.4.3.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구조 비교 = 183
6.5. 한국어의 음절구조 교육 방안 = 183
6.5.1. 음절구조 교육 모형 = 183
6.5.2. 음절구조 교육 방안 = 184
07 음운현상
7.1. 음운현상의 정의 = 199
7.2. 음운현상의 유형 = 200
7.3. 음운현상의 실제 예 = 201
7.3.1. 대치 = 201
7.3.2. 탈락 = 203
7.3.3. 첨가 = 204
7.3.4. 축약 = 204
08 자음의 음운현상
8.1. 대치 = 209
8.1.1. 음절말 평폐쇄음화 = 210
8.1.2. 비음동화(비음화) = 211
8.1.3. /ㄹ/의 비음화 = 211
8.1.4. 순행적 유음화 = 212
8.1.5. 역행적 유음화 = 212
8.1.6. 조음위치동화 = 213
8.1.7. 구개음화 = 214
8.1.8. (대치로서의) 경음화 = 215
8.2. 탈락 = 216
8.2.1. /ㅎ/-탈락 = 217
8.2.2. /ㄹ/-탈락 = 218
8.2.3. /ㄷ/-탈락 = 218
8.2.4 자음군 단순화 = 219
8.3. 첨가 = 219
8.3.1. /ㄴ/-첨가 = 220
8.4. 축약 = 220
8.4.1. 유기음화 = 221
8.4.2. (축약으로서의) 경음화 = 221
8.5. 한국어 자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 222
8.5.1. 자음의 음운현상 교육 모형 = 222
8.5.2. 자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 223
09 모음의 음운현상
9.1. 대치 = 233
9.1.1. 반모음화 = 234
9.1.2. 모음의 완전순행동화 = 234
9.1.3. /ㅣ/-모음 역행동화(움라우트) = 235
9.1.4. 원순모음화 = 235
9.1.5. 비원순모음화 = 236
9.1.6. 전설모음화 = 236
9.1.7. 모음조화 = 236
9.1.8. 단모음화(短母音化) = 237
9.2. 탈락 = 237
9.2.1. /ㅡ/-탈락 = 238
9.2.2. /ㅏ, ㅓ/-탈락(동일모음 탈락) = 239
9.2.3. /ㅣ/-탈락([j]-탈락) = 239
9.2.4. /ㅗ, ㅜ/-탈락([w]-탈락) = 239
9.3. 첨가 = 239
9.3.1. 반모음 첨가([j, w]-첨가) = 240
9.4. 축약 = 241
9.4.1. 단순모음 축약 = 241
9.4.2. 이중모음 축약 = 241
9.5. 한국어 모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 241
9.5.1. 모음의 음운현상 교육 모형 = 242
9.5.2. 모음의 음운현상 교육 방안 = 242
부록 1 한글맞춤법 = 251
부록 2 표준어 규정 = 293
부록 3 외래어 표기법 = 326
부록 4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392
찾아보기 = 397
참고 논저 =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