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서론: 알타이학의 어제와 오늘
1. 들어가기
2. 알타이언어 사용 지역
1) 만주퉁구스어파
2) 몽골어파
3) 튀르크어파
3. 알타이언어 연구의 역사
4. 한국어 계통 연구의 역사
5. 알타이학에 대하여

2장. 알타이어계 제 민족 시조신화 자료 검토
1. 들어가기: 알타이어족과 시조신화 연구의 관계
2. 알타이어 제 민족 시조신화 자료들
1) 튀르크계 시조신화
2) 몽골계 시조신화
3) 퉁구스계 시조신화
3. 계통별 시조신화의 특징들
4. 맺음말

3장. 한국의 만주어 연구 현황과 과제
1. 들어가기
2. 조선조 사역원
1) 청학
2) 판본 청학서
3. 20세기 이후
1) 청학서
2) 청나라 간행 만주문 자료
3) 기타
4. 맺음말

4장. 우디허어 연구사와 현지조사 노트
1. 들어가기
1) 우디허인의 인구
2) 우디허인의 과거와 현재의 거주지
3) 우디허 민족의 명칭
4)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우디허인
2. 우디허어 연구사
1) 주요 연구 논저
2) 우디허어의 방언
3) 크라스니 야르 우디허인의 언어 사용 상황(구체적 사례)
3. 맺음말

5장. 러시아 연해주의 발해사 연구
1. 들어가기
2. 연해주 발해 연구의 여정
3. 한러 공동 조사와 보고서
4. 이해의 심화를 위하여
5. 맺음말

6장. 러시아 제국 지식인의 시베리아 토착민관
1. 들어가기
2. 시베리아에 대한 야드린체프 이전의 연구
3. 시베리아에 바친 사랑: 야드린체프의 삶과 학문
4. 시베리아학을 넘어 시베리아 토착민 연구로
5. 야드린체프의 시베리아 토착민관
1) 시베리아의 다양한 토착민 집단
2) "토착민 사멸"론
3) 러시아인과의 관계, 그 복합적 면모
4) 토착민의 문화적 능력
5) 우그로 알타이족의 문화사
6) 토착민 보호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
6. 맺음말

7장.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특성과 그 연구사
1. 들어가기
2. 시베리아와 시베리아 샤머니즘
1) 시베리아
2) 시베리아 샤머니즘: 사하-야쿠치아를 중심으로
3) 으흐아흐 축제와 샤머니즘
4) 곰의례와 샤머니즘
3. 시베리아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사
1) 19세기까지의 민족지적 연구
2) 20세기의 시베리아 샤머니즘 연구
4. 맺음말

8장. 유전체 서열 변이를 이용한 동아시아 민족 간 유전적 연관성 분석 연구 현황과 과제^
1. 들어가기
2. 분자계통학과 분자인류학
3. 동아시아 민족의 유전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
4.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GMI?SNU) 연구 자료 소개
5. 맺음말: 향후 연구 과제 및 결론

찾아보기
Abstract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