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제1장 이중언어 : 정의와 구분
⧑ 소개 ...15
⧑ 용어 ...16
-이중언어의 여러 측면들 ...16
⧑ 개인들의 이중언어 사용 ...18
-언어선택 ...20
⧑ 이중언어와 다중언어 능력 ...21
-언어의 네 가지 능력 ...21
-최소, 최대 이중언어 ...22
-균형 잡힌 이중언어화자 ...24
⧑ 이중언어에 대한 단일언어화자 관점 ...25
-‘반쪽이중언어’ / ‘두 개의 반쪽이중언어’ ...26
⧑ 이중언어에 대한 전체적인 관점 ...28
⧑ 의사소통 유창성과 학문적인 언어 능력 ...30
⧑ 언어수행능력의 구조 ...31
-Bachman의 언어 능력 모형 ...32
⧑ 결론 ...34
-Bachman의 언어 능력 모형 ...32
<1장의 요점> ...36
⧑ 더 읽을거리 ...36
⧑ 연구 활동 ...37

제2장 이중언어 측정
⧑ 소개 ...41
⧑ 이중언어화자들을 측정하는 목적 용어 ...41
-분포 ...42
-선택 ...42
-총괄평가 ...42
-형성평가 ...43
⧑ 학교에서 이중언어화자들에 대한 평가 ...43
-절대 평가 언어 시험 : 언어 평가에 대한 교육과정 접근법 ...43
-숙달도에 대한 자기평가 ...48
⧑ 측정의 한계 ...48
1.모호함 ...49
2.맥락 ...49
3.사회적 최적화/주관성 ...49
4.묵인반응 ...49
5.자기인식 ...49
6.참고사항 ...50
7.분위기 검사 ...50
8.언어의 제한된 표집 ...50
9.변화에 대한 무감각 ...50
10.이름표 붙이기 ...50
⧑ 의사소통 평가 ...51
-언어 평가에 대한 정치적인 견해 ...54
⧑ 이중언어화자 측정에 대한 연구의 예 ...55
-언어 배경 등급 ...55
-언어 균형과 우세 측정 ...58
⧑ 언어 조사 ...61
-미국의 인구조사에서 언어 ...60
-1910년 미국 인구조사 ...61
-2000년 미국 인구조사 ...62
⧑ 언어조사의 한계점 ...63
⧑ 결론 ...65
<2장의 요점> ...66
⧑ 더 읽을거리 ...66
⧑ 연구 활동 ...67

제3장 위험에 빠진 언어 : 계획과 재활성화
⧑ 소개 ...71
⧑ 위험에 빠진 언어 ...72
1.생태적인 다양성은 필수적이라는 것을... ...75
2.정체성을 표현하는 언어들 ...75
3.언어는 역사의 보고다 ...76
4.언어들은 현재 인간의 지식에 대한 총합을 나타낸다 ...76
5.언어는 그 자체로 재미있다 ...77
⧑ 언어 정책들 ...79
⧑ 언어 계획 ...81
1.언어 계획의 바탕은 습득 계획이다 ...81
2.지위계획은 본래 정치적이다 ...83
3.말뭉치 게획은 언어가 위태로운 곳과... ...84
⧑ 언어 재활성화에 대한 이론적 모형 ...88
-지위 요인 ...89
-인구통계 요인 ...90
-기관의 지원 요인 ...92
-언어 전환에 대한 이론 ...94
-언어 전환을 뒤집는 단계 ...96
-제한점 및 비평 ...97
⧑ 결론 ...100
<3장의 요점> ...100
⧑ 더 읽을거리 ...101
⧑ 웹사이트 ...102
⧑ 연구 활동 ...102

제4장 사회에서의 언어들
⧑ 소개 ...107
⧑ 양층언어(Diglossia) ...108
⧑ 더하고 빼는 맥락 ...114
⧑ 언어 전환과 언어 유지 ...116
⧑ 언어 저하와 사멸 ...121
⧑ 언어 부활 ...124
⧑ 언어 충돌 ...125
⧑ 언오와 민족주의 ...126
⧑ 국제 언어로서 영어 ...130
-영어의 확산 ...132
-영어의 앞날 ...133
⧑ 결론 ...140
<4장의 요점> ...140
⧑ 더 읽을거리 ...141
⧑ 연구 활동 ...141

제5장 조기 이중언어 발달
⧑ 소개 ...145
⧑ 유년기 이중언어의 종류 ...146
⧑ 이중언어와 다중언어의 동시 습득 ...147
-유아기에 나타나는 두 언어 사이의 구별 ...148
-두 언어의 저장 ...151
-부모들의 언어선택 ...152
⧑ 동시 습득의 유형 ...155
-조기 아동 이중언어의 범주 ...154
유형 1 : 한 사람 –한 언어 ...155
유형 2 : 가정 언어가 집 밖에서 쓰는 언어와 다르다 ...155
유형 3 : 섞인 언어 ...156
유형 4 : 제2언어의 뒤늦은 소개 ...156
⧑ 조기 이중언어에 대한 사례 연구들 ...157
-한 부모 가정과 이중언어 ...160
⧑ 삼중언어/다중언어 ...161
⧑ 코드바꾸기와 코드섞기 ...164
⧑ 언어 통역자와 중개인으로서의 아리들 ...171
⧑ 결론 ...174
<5장의 요점> ...175
⧑ 더 읽을거리 ...176
⧑ 연구 활동 ...177

제6장 후기 이중언어 발달
⧑ 소개 ...181
⧑ 제2언어 학습 이유 ...182
-사회적인 이유들 ...182
-개인적인 이유들 ...186
⧑ 형식적인 제2언어 학습 ...189
⧑ 나이 요인 ...192
⧑ 개인 차이 : 태도와 동기 ...197
⧑ 정체성과 제2언어 습득 ...203
-사회 정체성과 제2언어 학습 ...203
-제2언어 학습에서 의미 구성하기 ...204
-언어와 힘 ...205
-다중 정체성들과 제2언어 습득 ...206
-상상의 공동체들 ...207
⧑ 결론 ...208
<6장의 요점> ...209
⧑ 더 읽을거리 ...210
⧑ 연구 활동 ...211

제7장 이중언어와 인지 (Panos Athanasopoulos가 개정함)
⧑ 소개 ...215
⧑ 이중언어와 ‘지적능력’ ...216
-부정적인 영향 시기 ...216
-정의 ...217
-측정 언어 ...218
-분석 ...219
-분류 ...219
-일반화 ...219
-맥락 ...220
-동일한 집단 ...220
-연구 결론 ...221
-중립 효과 시기 ...222
-첨가 효과 시기 ...223
⧑ 이중언어와 뇌 ...227
⧑ 이중언어와 확산적인/창의적인 사고 ...232
⧑ 이중언어와 메타언어적 인식 : 초기 연구 ...234
⧑ 이중언어와 메타언어적 인식 : 초기 연구 ...236
-영향과 설명 ...240
-나이의 영향 ...242
⧑이중언어와 의사소통의 민감성 ...244
⧑특정언어들로 말하기가 주는 영향에 대한 견해 ...246
⧑결과물의 한계점 ...249
⧑ 결론 ...251
<7장의 요점> ...252
⧑ 더 읽을거리 ...252
⧑ 연구 활동 ...253

제8장 이중언어의 인지 이론과 교육과정
⧑ 소개 ...257
⧑ 균형이론(The Balance Theory) ...257
⧑ 빙산 비유(The Lceberg Analogy) ...259
⧑ 문지방 이론(The Thresholds Theory) ...261
⧑ 문지방 이론의 발전 ...264
⧑ 교육과정의 관련성 ...274
⧑ 비평 ...278
⧑ 결론 ...280
<8장의 요점> ...280
⧑ 더 읽을거리 ...281
⧑ 연구 활동 ...281

제9장 이중언어에 대한 역사 소개 : 미국 (Wayne Wright가 개정함)
⧑ 소개 ...285
⧑ 미국에서 진행된 이중언어 교육의 짧은 역사 ...286
⧑ ‘아이들을 위한 영어’에 대한 유권자 계획 ...295
⧑ ‘낙오 학생 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2001 제정 ...299
⧑ 오바마 행정부 산하 연방정부의 교육 정책 ...303
⧑ 최근 통계 ...307
⧑ 성취 격차에 대한 쟁점 ...308
⧑ 이중언어화자의 학습 부진에 대한 견해 ...310
⧑ 결론 ...316
<9장의 요점> ...317
⧑ 더 읽을거리 ...317
⧑ 연구 활동 ...318

제10장 이중언어 교육의 유형
⧑ 소개 ...323
⧑ 이중언어 교육의 유형학 ...324
-통합/침수식(Mainstreaming/Submersion) 교육 ...328
⧑ 특별 수업과 통합 교육 ...332
⧑ 분리주의 교육 ...334
⧑ 전환기(Transitional) 이중언어 교육 ...335
⧑ 통합식 교육 –외국어 교수와 함께 ...338
⧑ 분리주의 교육 ...340
⧑ 결론 ...341
<10장의 요점> ...341
⧑ 더 읽을거리 ...341
⧑ 연구 활동 ...342

제11장 이중언어와 두 언어로 읽고 쓰는 능력을 위한 교육
⧑ 소개 ...347
⧑ 두 언어로 하는 이중언어 교육 ...347
-기원과 발전 ...358
-두 언어 학교들과 평화 ...361
⧑ 계승어 이중언어 교육 ...363
-미국에서의 토착어 교육 ...370
⧑ 몰입식 이중언어 교육 ...373
-몰입식 이중언어 교육 유형 ...374
⧑ 다수 언어로 하는 이중언어 교육 ...381
-내용과 언어 통합 학습(CLIL) ...382
-국제 학교 ...385
-유럽의 학교 운동 ...386
⧑ 결론 ...389
<11장의 요점> ...391
⧑ 더 읽을거리 ...392
⧑ 연구 활동 ...393

제12장 이중언어 교육의 효용성
⧑ 소개 ...397
-학교와 교실 효용성에 대한 주요 주제들 ...398
⧑ 이중언어 교육의 효용성 : 미국에서의 논쟁 ...400
-초기 연구 ...400
-여론과 이중언어 교육의 효용성 ...405
-이중언어 교육의 효용성에 대한 전문가의 비평 ...406
⧑ 두 언어 교육의 효용성 ...409
⧑ 몰입식 이중언어 교육의 효용성 ...413
-제2언어 학습 ...413
-제1언어 학습 ...414
-다른 교육과정 영역 ...416
-태도와 사회적 적응 ...417
-문제와 한계점들 ...418
⧑ 계승어 교육의 효용성 ...423
⧑ 연구의 제한점 ...428
-아이들의 표본 ...429
-상호작용하는 요인들 ...430
-성공의 측정 ...431
-연구의 방식 ...432
-연구자들 ...433
⧑ 결론 ...434
<12장의 요점> ...436
⧑ 더 읽을거리 ...436
⧑ 연구 활동 ...437

제13장 이중언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학교와 교실
⧑ 소개 ...441
⧑ 학교에서 제 1언어 발달 ...442
-소수 언어를 지키는 것 ...443
-교실에서 코드 바꾸기 ...445
-언어이동과 읽고 쓰는 능력의 이동 ...447
-문화 인식 ...453
⧑ 단일언어화자 학교와 교실 ...454
-교사와 ᄋퟄ중언어를 지원하는 보조원 ...456
-디딤말하기 언어 ...457
⧑ 몰입식 교실에서 언언 교수와 학습 ...461
-몰입식 교실의 주된 교실 특성 ...461
-몰입식 교실에서 언어 전략 ...465
⧑ 효과적인 이중언어 학교에서 중요한 주제들 ...470
-학습자들의 수용인원과 언어 균형 ...470
-교직원들 사이에 공유된 비전, 임무, 목표 ...473
-교직원 채용 ...473
-교직원의 전문적인 성장과 훈련 ...474
-지도력 ...475
-교육과정 ...476
-지원적인 기풍과 환경 ...476
-높은 기대 ...477
-개별화 ...477
-부모들 ...477
⧑ 결론 ...478
<13장의 요점> ...478
⧑ 더 읽을거리 ...479
⧑ 연구 활동 ...480

제14장 이중언어화자들의 두 가지 이상의 언어로 읽고 쓰는 능력
(Literacy, Biliteracy, Multiliteracies)
⧑ 소개 ...485
⧑ 소수 언어권 학습자들의 읽고 쓰는 능력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 ...486
-기술 접근법 ...486
-의미 접근법의 구성 ...488
-사회문화적인 읽고 쓰기 접근법 ...489
-비판적인 읽고 쓰기 접근법 ...491
⧑ 두 언어로 읽고 쓰는 능력 ...495
-소개 ...495
-두 언어로 읽고 쓰는 능력의 발전 ...498
-더하고 빼는 맥락들 ...502
-두 언어로 읽고 쓰는 능력의 지속 ...504
⧑ 교실에서 여러 언어로 읽고 쓰는 능력 ...506
-소개 ...506
-학교 자원들 ...507
⧑ 공동체 관계 ...510
⧑ 가정과 학교의 관계 ...512
⧑ 결론 ...518
<14장의 요점> ...519
⧑ 더 읽을거리 ...520
⧑ 연구 활동 ...521

제15장 이중언어화자들의 특수 교육 필요성, 사정 평가, 시험
⧑ 소개 ...527
⧑ 타고난 다중언어 아이들과 아중언어 아이들 ...528
⧑ 이중언어 아이들에게 특별한 필요의 빈도 ...529
⧑ 언어 지체 ...531
⧑ 이중언어 특수교육 ...534
⧑ 아이의 특수한 필요와 학습 곤란에 대한 다른 원인들 ...538
⧑ 이중언어구사 아이들에 대한 사정과 배치 ...541
⧑ 미국의 예 ...543
⧑ 이중언어구사 아이들에 대한 사정과 시험 ...544
⧑ 조정 ...550
⧑ 시험과 검사 ...552
⧑ 사정 평가의 해결책과 결론 ...554
<14장의 요점> ...557
⧑ 더 읽을거리 ...557
⧑ 연구 활동 ...558

제16장 농아인들, 이중언어와 이중언어 교육
⧑ 소개 ...563
⧑ 농아인들(Deaf Peaple) ...563
⧑ 이중언어화자로서의 농아인들 ...564
⧑ 농아인들에 대한 두 가지 관점 ...566
⧑ 농아인들과의 수화 ...570
⧑ 농아 학습자들의 교육 ...571
⧑ 결론 ...577
<16장의 요점> ...577
⧑ 더 읽을거리 ...578
⧑ 연구 활동 ...579

제17장 문제, 권리, 자원으로서의 이중언어와 이중언어 교육
⧑ 소개 ...583
⧑ 언어에 대한 세 가지 관점 ...584
-문제로서의 언어 ...584
-권리로서의 언어 ...588
-자원으로서의 언어 ...594
⧑ 미국의 언어 지향 ...596
-미국에서 영어의 발전 ...598
⧑ 결론 ...601
<17장의 요점> ...602
⧑ 더 읽을거리 ...602
⧑ 연구 활동 ...603

제18장 이중언어와 이중언어 교육 : 사상, 정체성과 권한부여
⧑ 소개 ...607
⧑ 사상과 이중언어 ...607
⧑ 동화 ...608
⧑ 다원주의 ...612
⧑ 대체 가능한 언어 정책 ...613
⧑ 동화와 이민자들 ...617
⧑ 정체성 ...618
⧑ 소수 정체성의 유지 ...623
⧑ 변화의 달성 : 기능 혹은 충돌? ...624
⧑ 소수 학습자들을 위한 변화 달성 ...628
⧑ 결론 ...634
<18장의 요점> ...634
⧑ 더 읽을거리 ...635
⧑ 연구 활동 ...636

제19장 현대 세계에서 이중언어
⧑ 소개 ...639
⧑ 직업적인 이중언어 ...639
⧑ 이중언어와 관광 ...643
⧑ 이중언어와 대중매체 ...645
⧑ 정보기술과 이중언어 ...648
⧑ 이중언어와 인터넷 ...650
⧑ 이중언어와 경제 ...651
-경제적인 이득으로서의 이중언어 ...651
-다양한 언어의 경제적 유용성 ...653
-소수 언어들과 경제 ...655
-이중언어와 경제적 불공평 ...658
⧑ 결론 ...658
<19장의 요점> ...660
⧑ 더 읽을거리 ...661
⧑ 연구 활동 ...662

<참고문헌> ...665~778
<색 인> ...779~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