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세종은 왜 새로운 음악을 창제하였는가?
1. 종묘제례악의 역사적 의미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
세종이 창제한 ‘신악’이 바로 한국의 아악
아악과 속악과 향악
아악은 고유명사가 아닌 보통명사
2. 세종이 창제한 신악新樂이란?
신악의 내용
‘정대업’은 무공武功을, ‘보태평’은 문덕文德을 기림
‘발상’은 조상이 하늘에서 상서를 받았다는 내용
‘봉래의’는 방대한 모음곡
작곡은 가사를 먼저, 그 다음에 곡조
3. 신악의 창제 시기와 방법
가?악?무 일체의 악
신악의 가사 제정
신악의 악보 제작
우리 음악을 위한 정간보井間譜의 창안
4. 신악의 창제 동기
더 많은 사적을 노래하게 하기 위하여?
언문과 향악으로 표현
건국의 정당성과 국왕의 위엄을 널리 알리기 위해
신제 아악과 신악
5. 음악 주체성의 발로
세종의 신악 창제 동기
시대마다 다른 기준에 의해 제작되는 아악의 가변성
6. 신악의 용도
종묘와 조정의 의식에 사용
신악의 아악화
7. 아악이란 무엇인가?
통설의 아악 정의
통설의 향악 정의
신설의 아악 정의
통설의 아악 정의의 근거
8. 세조의 주체적 아악관
9. 공식적인 한국 아악의 등장
한국 아악의 공식적 확립·실현
성종 대에 아악과 속악을 다시 구분
성리학자들의 아악관과 속악관의 변화
신설 아악관의 근거
10. 코페르니쿠스적 인식의 전환
한국 아악사의 새로운 인식 지평

제2부 새로운 한국 아악사
1. 아악에 대한 아주 견고하고 오래된 오해
한국 아악에 대한 새로운 개념 정의
대성악 이전에 존재한 아악
2. 한국 아악의 유래
국가 제사 활동
아악기의 존재
삼국의 아악기
3. 신라의 아악
<삼국사기>에 소개된 신라의 악
18악의 아악 여부
한국 고유의 아악인가?
여기현의 견해
4. 가야의 아악
우륵의 12곡과 니문의 3곡
5. 통일신라의 아악
6. 고려의 아악
‘향악 교주’의 의미와 의의
아악의 구체적 용도와 의미
팔관회와 연등회에서의 아악
7. 한국 아악의 새로운 인식
삼국(사국) 시대
통일신라 시대
고려 시대

|보론| 우리의 악樂을 찾아서
음악music과 악樂
음악과 악은 동일한가?
‘악’은 순수예술인가?
예악 사상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의 가·악·무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

나가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