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한국어 교육의 역사적 전개와 학문적 정체성
1. 국내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발달사적 접근과 미래 대안의 제시
2. 국외 한국어 교육의 발달 과정과 특징-태동과 도약
3.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연구 방법론 소고

제2장 한국어 교육 현장의 이해
1.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교육
2.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과제
3. 국제 한국어 교육학회의 오늘
4. 한국국제교류재단과 한국어 해외 보급
5.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의 특징과 발전 방안

제3장 한국어 교육 정책의 주요 쟁점
1.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실제와 과제-한국어 교육 정책의 관점에서
2.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방안
3. 국어기본법과 한국어 교육-제정의 의의와 시행 이후 한국어 교육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4. 한국어교원자격제도의 발전 방안
5. 세종학당 추진의 의의와 과제
6. 한국 정부의 재외 동포 한국어 교육 정책

제4장 한국어 교육 정책 관련 시론
1. 한국어 교육의 현재와 미래
2.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의 재조명
3. 최근의 한국어 학습 열기와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
4. 한국어의 국외 확산에 관한 단상
5. 이주노동자 한국어 교육, 총체적 접근 요구돼
6. 세종학당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7. 한류-한국어교육 관계 가설의 재검토
8. 국내 대학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어 능력
9. 다문화 사회 대비 한국어 교육의 총체적 점검을
10. 정부와 대학, 외국인 유학생 관리·지원에 적극 협력해야
11. 한국어 세계지도의 재편
12.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기대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