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장 머리말
1.1. 연구 동기와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1.2.1. 역사언어학의 담론과 맥락
1.2.2. ≪조선왕조실록≫을 통한 접근 방법
1.3. 연구사 개관

2장 언문 관련 용어로 본 언문 사용 양상과 의의
2.1. 주제어 선정의 의미
2.2. 주제어 국역의 문제
2.3. ‘언문’의 사용 양상과 맥락적 의미

3장 언문의 제도적 사용과 의의
3.1. 기관, 법, 제도 측면의 언문 사용과 의의
3.2. 왕과 사대부 관리층의 제도적 사용과 의의
3.3. 왕실 여성의 제도적 언문 사용과 의의
3.3.1. 권력 측면의 사용과 의의
3.3.2. 지배 계층 남성과의 소통 수단적 사용과 의의
3.4. 그 밖의 제도적 언문 사용과 의의
3.4.1. 임금의 행정 문서 사용과 교육 제도
3.4.2. 국가 정책용 사용과 의의
3.4.3. 외교 문서의 사용과 의의
3.5. 백성들의 언문 사용과 의의
3.5.1. 제도적 언문 사용과 의의
3.5.2. 언문의 반제도적 사용과 의의

4장 시기(왕)별 언문 사용과 의의

5장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언문’ 관련 기사 제목과 사건 요약 서지 정보
2. 세기별 언문사건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