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한국어의 음운과 연구사
원인별로 살핀 낱말 변화 체계 / 조오현 = 11
대학생 겹받침 발음의 사회언어학적 실현 양상 / 김연희 = 39
『한글맞춤법』(1988)과『조선말규범집』(1987) 비교 / 김병건 = 57
정선지역어의 음운체계와 음운현상 / 최영미 = 99
지역 방언의 어두 경음화 연구사 / 한명숙 = 133
1990년대 이후 한국어 연구의 새 경향 / 박동근 = 167
제2장 한국어의 문법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국어 자리토씨 변천 / 허원욱 = 203
''너기다''류에 나타난 어찌마디의 통시적 고찰 / 윤혜영 = 227
중세국어 언어 변화의 흐름 / 정수현 = 257
15세기 의존명사의 문법화 / 안신혜 = 275
흥부가 사설에 나타난 의향씨끝 고찰 (2) / 장숙영 = 289
''-기 쉽다'' 구문의 대주어 분석 / 조용준 = 323
의존명사의 명사성 정도 / 최대희 = 347
제3장 한국어 교육
피동법에서의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 선정 / 김용경 = 369
지각동화모델과 음성학습모델 / 김주연 = 389
대학생들의 작문에서 나타나는 연결어미 사용 분석 / 박혜란 = 415
중국인 학습자의 유의 관계어 오류 분석 및 개선 방안 / 추육영 = 439
제4장 텍스트와 글쓰기
이상 시의 [+신체] 어휘 공기어 고찰 / 이만식 = 489
신문 광고에 나타난 부사의 분포와 사용 양상 / 서은아 = 515
박정희 대통령 취임사의 거시구조 분석 / 김형주 = 529
전기 안전 캠페인 텍스트 분석 / 윤재연 = 547
사용자를 고려한 의약(외)품 사용 설명서의 내용 표현 개선 방안 / 김준희 = 575
사회적 소통망에 나타나는 청소년의 언어 사용 실태 / 김유권 = 605
대학 글쓰기 교재 속에 나타난 ''논증하기'' 구성 및 내용 고찰 / 원흥연 = 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