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1부 연구편
제1장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 15
1. 머리말 - 근대신문 연구의 필요성 = 15
2. 한국 근대신문 자료 연구의 현황 = 16
3. 『대한매일신보』연구의 현황 = 24
4. 한국 근대 신문 소설의 등장과 전개 과정 = 34
5. 마무리 -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 59
제2장 『대한매일신보』와 한국의 근대소설 = 62
1. 머리말 - 『대한매일신보』연구의 필요성 = 62
2. 『대한매일신보』의 서지(書誌) = 63
3. 『대한매일신보』와 국문에 대한 관심 = 71
4. 『대한매일신보』의 필자와 편집진 = 83
5. 『대한매일신보』 소재 ''소설'' 연구 = 87
6. 『대한매일신보』 편집자들의 소설관 = 113
7. 마무리 - 『대한매일신보』와 근대소설 = 120
제3장 『대한매일신보』와 기타 서사문학 자료 = 123
1. 머리말 - 단형 서사문학 연구의 필요성 = 123
2. 국한문판『대한매일신보』의 단형 서사문학 자료 = 124
3. 국문판 『대한매일신보』의 단형 서사문학 자료 = 149
4. 마무리 - 단형 서사문학의 특질 = 190
2부 자료편
001 甲乙藕談 = 195
002 향각담화 = 197
003 소경과 안즘방이 문답 = 201
004 의태리국아마치젼 = 219
005 鄕老訪問醫生(향로방문의생)이라 = 224
006 路上問答 = 247
007 淵齋송先生傳 = 249
008 靑樓義女傳(쳥루의녀젼) = 251
009 車夫吳解(거부오해) = 260
010 時事問答(시사문답) = 268
011 夢登天門 = 287
012 三不知問答 = 291
013 至원莫伸 = 293
014 甲乙問答 = 296
015 狐假人形談 = 300
016 時事問答 = 302
017 韓日人問答 = 305
018 老구解 = 307
019 讀美國實業家로 - 씨傳 = 309
020 晨夕이 乍凉에 秋意가 宛然이라 = 313
021 흑룡강의 녀쟝군 = 316
022 범잡는 말 = 317
023 梢工說 = 320
024 벼슬 구하는 쟈여 = 321
025 旗亭甲乙 = 323
026 頑固點考 = 326
027 六畜爭功 = 328
028 로쇼문답 = 330
029 老少問答 = 334
030 북촌에 로인들이 모혀 = 336
031 西湖問答 = 338
032 몽즁사 = 354
033 街談一束 = 356
034 狐와 猫의 問答 = 358
035 여호와 고양이의 문답 = 360
036 喝破頑夢 = 363
037 老人酬酌 = 365
038 記南州之一頑固生 = 367
039 남방의 한 완고생의 일을 긔록함 = 369
040 회개하는 쟈는 방셕함을 엇나니라 = 372
041 동창에 달이 빗쳐 = 374
042 城上舌戰 = 376
043 완고와 신진의 문답 = 378
044 許多古人之罪惡審判 = 380
045 허다한 녯 사람의 죄악을 심판함 = 383
046 兩少年問答 = 386
047 夢踏花亭 = 388
048 오동츄야 달밝은대 = 390
049 甲乙問答 = 392
050 未來韓半島問答 = 394
051 한국의 쟝래 = 396
052 大藍과 進賜 = 399
053 황국단풍 됴흔 집에 = 401
054 實業界失敗者의 可燐話 = 403
055 실업계에 실패한 쟈의 가련한 담화 = 405
056 答客問 = 408
057 객창문답 = 410
058 긔쟈 ㅣ 즁부 엇던 방곡을 = 413
059 禮山來人의 言을 記함 = 415
060 俗談으로 京鄕兩客의 語를 撮錄함 = 417
061 學界의 悲觀的 談話를 記함 = 420
062 학계에 비참한 말을 긔록함 = 422
063 금슈의 말 = 424
064 禽獸說 = 426
065 兩戒同盟 = 428
066 뎌 셔산에 해 걸치고 = 430
067 西南遊客의 談 = 432
068 디구셩 미래몽 = 434
069 寶鏡照妖 = 452
070 동방에 위인도라 하는 = 454
071 蚊맹驅除 = 456
072 記客言 = 460
073 兩狗壹망 = 463
074 객의 말을 긔록함 = 464
075 화개동에 엇던 개 하나가 = 467
076 보응 = 469
077 쇄言 = 487
078 가을ㅅ비는 개이고 = 489
079 頑人頑夢 = 491
080 蠅鼠相詰 = 493
081 인쳔항구 쥐무리들 제 재조을 = 494
082 屛門技戱 = 495
083 샹풍은 쇼슬하고 = 497
084 西道沿海의 漁場 = 499
085 山林測量에 對한 一嘆 = 501
086 옛젹에 一小兒가 有하니 = 503
087 喪服鳶/再盲兒 = 505
088 監商주躇/샹蟲經營 = 507
089 西人이 澳洲를 쳐음 發見할 際 = 509
090 柳슈雲/韓石峰 = 511
091 支那古說부에 云하엿스되/羅馬時에 一天文學者가 = 513
092 偉人의 頭角 = 514
093 哲人의 面目 = 515
094 奴隷工夫/挾雜敎育 = 516
095 古談 = 517
096 一深深山寸에 一頑固學究가 잇다 = 519
097 姜邯贊과 加富爾/悲哉 韓國英雄의 歷사 = 521
098 屛門軍과 大統領/竊盜者의 國家主義 = 523
099 巴립西가 年이 十八에/一畵師가 有한대 = 525
100 時夜는 寂寞하고 壁燈은 明滅한대 = 526
101 밤은 드러 삼경되여 = 528
102 防砲神法 = 530
103 동창이 발가오매 보관문을 = 532
104 隱궤聽五學生談夢 = 534
105 안셕을 의지하여 다섯 학생의 꿈니약이 하는 말을 듯는다 = 536
106 李下才談 = 539
107 지난 겨울 맹렬한 바람에 = 541
자료목록 1 - 『대한매일신보』국한문판 소재 서사물 총목록 = 543
자료목록 2 - 『대한매일신보』국문판 소재 서사물 총목록 = 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