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

주시경 어록 = ⅱ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의 횃불을 든 사람들 = ⅲ
조선어 강습원(한글 배곧)의 각종 증서 = ⅺ
머리말 = ⅹⅴ

1부
민족어문의 발전과 철학적 기반 = 001

1. 공리적 언어관의 형성・발전과 훔볼트 언어철학의 수용양상 = 003
제1부 1장
1. 들어가기 = 3
2. 개화기의 언어관 = 4
3. 일제 강점기의 언어관 = 18
4. 해방공간과 정부수립 이후의 언어관 = 25
5. 마무리 = 31

2. 통일언어철학의 탐색 방향 = 34
제1부 2장
1. 들어가기 = 34
2. 우리의 언어철학은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 35
3. 분단시대의 언어철학은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하여 왔는가 = 40
1) 남쪽의 언어철학 = 41
2) 북쪽의 언어철학 = 45
4. 통일언어철학을 어떻게 세울 것인가 = 50
5. 마무리 – 민족어 발전철학의 정립을 제안하며 = 53

2부
개화기의 민족어문의 발견과 국권수호 = 57

1. 유길준의 국문관과 사회사상 = 59
제2부 1장
1. 들어가기 = 59
2. 유길준 국문관의 철학적 기반 = 62
3. 유길준의 국한문 혼용론과 훈독법에 대한 검토 = 72
4. 마무리 = 81

2. 개화기의 민족어 연구단체와 민족어문 보급 활동 –『한글모 죽보기』를 중심으로 - = 82
제2부 2장 = 82
1. 들어가기 = 82
2. 『한글모 죽모기』의 내용 = 84
3. 하기국어강습소와 국어연구학회 = 89
1) 하기국어강습소 = 89
2) 국어연구학회 = 96
4. 조선어강습원과 조선언문회 = 102
1) 조선어강습원 = 103
2) 조선언문회 = 117
5. 마무리 = 123
[붙임] 주시경 선생의 자작 동요와 ‘조선어강습원’의 각종 증서 = 129
1. 주시경 선생의 자작 동요 해설 = 129
2. 각종 증서의 판독과 그에 대한 해설 = 130

3. ‘국문’과 ‘한글’, 그리고 ‘한글’의 ‘작명부’ = 142
제2부 3장
1. 들어가기 = 142
2. ‘한글’에 대한 새로운 해석 = 145
3. ‘한글’이란 이름을 처음 지은 사람은? = 152
4. 마무리 = 154

4. ‘한글’의 작명부는 누구일까 = 155
제2부 4장
1. 들어가기 = 155
2. ‘한글’의 비주시경 작명부설은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가 = 157
3. ‘한글’의 실질적인 작명부는 여전히 주시경이다 = 163
4. 마무리 = 171
[붙임] 우리의 언어・문자의 명칭에 관련된 자료(1880~1998) = 175

3부
일제 강점기의 민족어문의 표준화와 문화창조 = 179
1. 이윤재의 사회사상과 문화민족주의 = 181
제3부 1장
1. 들어가기 = 181
2. 환산과 서당 시절, 신교육, 야학 = 182
3. 환산과 한힌샘, 단재 = 186
4. 환산과 도산 = 191
5. 환산의 역사 인식 = 196
6. 북경 유학시절의 환산의 활동 = 202
7. 마무리 = 211
[붙임1] 이윤재의 저술목록 = 215
[붙임2] 이윤재의 걸어온 길〔年譜〕 = 227

2. 이극로의 사회사상과 민족어 수호운동 = 239
제3부 2장
1. 들어가기 = 239
2. 생장과 방황, 그리고 수학 – 사회사상의 형성과 관련하여 - = 242
1) 생장과 방황 = 242
2) 수학 – 동제대학 예과 시절 = 245
3) 베를린 유학 시절 – 수학과 견문, 독립운동, 박사 학위 취득 = 247
4) 영국, 프랑스, 미국을 거쳐 귀국 = 263
3. 사회사상과 민족어운동 = 270
1) 사회사상 = 270
2) 고루와 민족어 수호운동 = 276
3) 고루와 북한의 민족어 운동 = 286
4. 마무리 = 290
[붙임] 이극로의 저술목록 = 294

3. 일제 강점기의 민족어문의 표준화와 민족문화 창조의 기반 구축 = 307
제3부 3장
1. 들어가기 = 307
2. 1910년대 중반 ~ 1920년대 전반의 표준화운동 = 309
1) 주시경 사후의 표준화운동과 이에 대한 도전 세력 = 309
2) 조선어연구회의 창립과 주시경후계들의 표준화운동 = 323
3. 1920년대 후반의 표준화운동 = 346
1) 가갸날/한글날의 제정을 전후한 표준화를 위한 토론 전개 = 346
2) 표준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의 성황 = 361
3) 언문철자법의 개정 = 371
4. 1930년대 전반의 표준화운동 = 381
1) 개정 언문철자법의 보급 = 381
2)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와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제정 – 조선어학회와 조선어학연구회의 대결 - = 390
3) 한글맞춤법통일안 이후의 표준화에 관련된 문제 = 418
5. 마무리 = 421

4. 옛 소련 고려인 사회의 민족어 수호 운동 = 428
제3부 4장
1. 들어가기 = 428
2. 표준화에 관련된 배경적 문제 = 429
3. 『고려문전』의 표준화 내용 = 435
4. 고려어 규범의 보급과 이에 따르는 문제 = 451
5. 고려인 사회와 사할린 지역의 민족어 보급 양상 = 459
6. 마무리를 지으며 = 463

참고논저 = 467
붙임말[해설] = 479
찾아보기 =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