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_말과 글, 지식보다는 감수성이 문제다

1장 언어, 한국어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는 기호다
: 꼭 그렇게 불러야 할 이유는 없다-자의성 | 혼자서는 살 수 없으니까?사회성 | 시간이 가면 변한다-역사성 | 인위적으로 나누었다-분절성 | 공통점이 무언가-추상성 | 한없는 끝말잇기처럼?창조성
언어는 구조다
: 지켜야 할 것이 있다?규칙성 | 짜임새가 있다?체계성
언어의 기능
: 지시 기능 | 표현 기능 | 지령 기능 | 친교 기능 | 미적 기능 | 메타언어적 기능

인간의 삶과 언어
언어와 사고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한다 | 사고가 언어를 지배한다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

한국어와 한글
한국어의 특질
: 음운의 특질 | 어휘의 특질 | 문법의 특질
한글의 특질
: 한국어의 문자 | 한글의 제자 원리

2장 음성과 음운?소리의 규칙

말이 되는 소리와 말이 안 되는 소리 |음성과 음운|
모든 소리가 음성일까?
: 서로 다른 음성을 듣고 같은 소리로 인식한다?
?단어를 구별하는 차이는 음운

막힘없이 나는 홀소리 |모음|
단모음과 이중 모음
입 모양과 혀의 위치에 따라 _단모음의 체계

목청, 이, 입술에 닿는 소리 |자음|
자음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졌을까?
자음의 체계
: 소리를 내는 위치에 따라 | 소리를 내는 방법에 따라 | 숨의 세기와 울림에 따라

[디그디]? [디그지]? [디그시]? |발음의 법칙 1.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연음 규칙|
음절, 발음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덩어리
끝소리 자음의 발음은 일곱 가지로 정해져 있다
모음 조사가 붙으면 원래의 받침소리가 되살아난다
: 규칙의 예외

[실라면]이냐, [신나면]이냐? |발음의 법칙 2. 자음 동화|
자음과 자음이 만나서 바뀐다
: 유음화-흘러가는 소리로 바뀐다 | 비음화-콧소리로 바뀐다 | [실라면]과 [신나면]의 싸움 | 아웃렛! [아운넫]? [아울렏]?

신발은 [신기는] 것일까, [신끼는] 것일까? |발음의 법칙 3. 된소리되기|
무성음끼리 만나면 뒤에 오는 소리가 된소리로 바뀐다
: 받침이 유성음인데도 된소리되기가 나타날 때가 있다 | [김:밥]일까, [김:빱]일까? | 한자어는 대책 없다

듀오 ‘10cm’, [십센티]냐, [십센치]냐? |발음의 법칙 4. 구개음화|
디→지, 티→치로 바뀐다
: 늘 바뀌는 것은 아니다

“내가 네 애비다!” |발음의 법칙 5. 모음 동화와 모음 조화|
모음과 모음이 만나도 바뀐다
모음끼리도 유유상종

‘님의 침묵’일까, ‘임의 침묵’일까? |발음의 법칙 6. 두음법칙|
단어의 첫머리에는 ‘니’가 오지 못한다
‘ㄹ’도 단어의 첫머리에 오지 못한다
ㄹ→ㄴ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넓다는 [널따], 그럼 ‘밟다’는? |발음의 법칙 7. 자음 탈락과 모음 탈락|
겹받침에서는 자음 하나가 탈락한다 _자음군 단순화
하늘을 날으는 슈퍼맨? _자음 탈락
자물쇠는 ‘잠그는’ 거지, ‘잠구는’ 게 아니다 _모음 탈락

‘몇 일’이 아니라 ‘며칠’이 맞는 이유 |발음의 법칙 8. 첨가|
김연아, [기며나]? [김녀나]? _ㄴ 첨가
두 단어가 합쳐질 때 난데없이 등장하는 사잇소리 현상
: 만능 해결사 사이시옷?

‘싫지’는 [실치], ‘싫증’은? |발음의 법칙 9. 축약|
아주 독특한 자음 ‘ㅎ’ _거센소리되기
발음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인다 _모음 축약

3장 형태와 품사-단어의 규칙

조사가 단어라고? |단어와 형태소|
언어를 공부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단어’
: ‘단어’의 정확한 뜻은?
쪼개고 또 쪼개면? _형태소
: 홀로 설 수 있느냐, 뜻이 있느냐-형태소의 분류 | 특이해서 특이 형태소

인간적인 사람과 사람적인 인간 |파생어와 파생법|
단어에도 뿌리와 가지가 있다 _어근과 접사
단어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_파생어와 합성어
: 특정한 의미를 더해 준다?접두 파생법 | 수고양이, 수캐, 숫양?-이형태 접두사 | 품사도 잘 바꾼다-접미 파생법 | 마음적으로 힘들다?-한자어 접미사

왜 젓가락은 ㅅ 받침인데, 숟가락은 ㄷ 받침일까? |합성어와 합성법|
영화 <번지 점프를 하다>가 전 국민에게 던진 질문
어순이 자연스러운 통사적 합성어
어떤 품사의 합성어가 되느냐
대등한가, 종속적인가
합성어냐, 구냐
합성어가 파생어로, 파생어가 합성어로

변하지 않는 단어 |품사 1. 체언|
단어를 나누어 보자
하나밖에 없는 ‘달’은 고유 명사? _ 보통 명사와 고유 명사
움직이느냐 _유정 명사와 무정 명사
홀로 쓰일 수 있느냐 _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
우리 남편? _1인칭 대명사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_2인칭 대명사
우리말에 3인칭 대명사가 있나? _3인칭 대명사
‘5시 20분 10초’를 어떻게 읽어야 할까? _수사

조사 하나밖에 없다 |품사 2. 관계언|
격을 표시한다 _격조사
: 주격 조사 ‘이/가’ | 목적격 조사 ‘을/를’ | 관형격 조사 ‘의’ | 제일 많은 부사격 조사 | 보격 조사 ‘이/가’ | 호격 조사 ‘야/아’ | 서술격 조사 ‘이다’
특별한 뜻을 더해 준다 _ 보조사

변하는 단어 |품사 3. 용언|
동작과 작용 _동사
성질과 상태 _형용사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법
혼자서는 쓰이지 못하는 보조 용언
용언은 어미가 변한다 _활용
: 어간도 변한다-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 | 어간에 붙는 어미의 종류

꾸미는 말 |품사 4. 수식언|
새 책은 사전에 없고 헌책은 사전에 있다 _관형사
‘그건 너! 바로 너!’ 명사도 꾸미는 부사
: 문장 성분을 꾸민다-성분 부사 | 문장 전체를 꾸민다-문장 부사

다른 성분에 대해 독립적이다 |품사 5. 독립언|

4장 어휘-단어의 분류

어휘의 체계
고유어와 한자어
외래어

어휘의 양상
방언
은어와 속어
금기어와 완곡어
관용어와 속담
전문어
새말

5장 통사-문장의 규칙

문장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문장 성분|
“불이야!”가 문장일까? _문장의 요건
: 문장을 이루는 어절, 구, 절 | 어절, 구, 절의 기능-문장 성분
문장 구조를 결정하는 서술어
: 서술어가 체언을 한정한다
꼭 주격 조사만 붙는 것은 아닌 주어
‘을/를’이 붙으면 일단 목적어
‘되다/아니다’ 앞에는 보어가 온다
때로는 ‘의’를 생략해도 되는 관형어
빠져서는 안 되는 부사어도 있다
: 부사어의 종류
감탄사를 비롯한 독립어

문장의 짜임새
주어와 서술어가 몇 개씩이지? _문장의 종류
: 문장 속에 또 문장이 있다-안은문장과 안긴문장 | 명사처럼 쓰이는 명사절 | 다양한 방식으로 체언을 꾸미는 관형절 | 부사냐 부사절이냐 | 절 표지가 없어도 서술절 | “라고 말했다.”-인용절
연결 어미로 이어진 문장
: 의미가 독립적일 때-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 의미가 종속적일 때-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한국어는 끝까지 들어 봐야 한다 |문법 요소 1. 종결 표현|
한국어의 문법 요소
그래서 어쩌라고? _평서문
꼭 궁금해서 묻는 것은 아니다 _의문문
‘그러다 넘어질라’도 명령일까? _명령문
숫제 명령이다 _청유문
감정을 드러내는 유일한 문장 표현 _감탄문

얻다 대고 반말이야? |문법 요소 2. 높임 표현|
듣는 이에 맞추어 말하는 상대 높임법
문장의 주어를 높이는 주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이는 객체 높임법

언제 있었던 일이지? |문법 요소 3. 시제 표현|
형태만 갖고는 알기 어렵다 _ 과거 시제
동사, 형용사가 다르다 _현재 시제
우리말에도 미래 시제가 있을까? _미래 시제
시제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 _절대 시제와 상대 시제
끝났나, 안 끝났나 _동작상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문법 요소 4. 피동 표현|
당했다는 뜻이 없을 때도 있다 _피동문의 뜻
능동과 피동, 뜻이 같지만은 않다
피동사로 만드는 파생적 피동
보조 용언으로 만드는 통사적 피동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 줘 |문법 요소 5. 사동 표현|
직접 하느냐, 남에게 시키느냐 _사동문의 뜻
사동사로 만드는 파생적 사동
보조 용언으로 만드는 통사적 사동
서로 똑같지는 않다 _파생적 사동문과 통사적 사동문

안 해. 아니 못 해! |문법 요소 6. 부정 표현|
부정한다고 부정문은 아니다 _부정문의 뜻
짧은 부정문과 긴 부정문
아니 안 되지, 돌아서면 안 되지 _‘안’ 부정문
나는 내 마음 못 주네 _‘못’ 부정문
가지 말라고, 가지 말라고 _‘말다’ 부정문
무엇을 부정하느냐 _부정의 범위

6장 의미-말의 뜻이란

언어와 의미
의미의 의미는?
: 무엇을 가리키느냐-지시설 | 무엇이 떠오르느냐-개념설 | 무슨 짓을 하느냐-행동설 | 언제 어떻게 쓰이느냐-용법설 | 어떤 관계에 있느냐-의의 관계설 | 좀 더 그것다운 것-원형설
의미의 유형
: 사전을 찾아보면-개념적 의미 | 더불어 생각난다-함축적 의미 | 말씨가 다르다-사회적 의미 | 기분이 다르다-정서적 의미 | 듣기만 해도 생각나-반사적 의미 | 어떤 단어와 연결되느냐-연어적 의미 | 무슨 말을 하고 싶으냐-주제적 의미

단어의 의미 관계
비슷하다고 대신할 수는 없다 _유의 관계
‘아버지’의 반대말이 ‘딸’이 아닌 까닭 _반의 관계
말에도 위아래가 있다 _상하 관계
구분의 기준이 같아야 한다 _부분-전체 관계
한 가지 의미에서 파생되었다 _다의 관계
소리만 같다 _동음이의 관계

의미의 변화
더 넓어진다 _의미의 확장
더 좁아진다 _의미의 축소
옮아간다 _의미의 이동
왜 변할까? _의미 변화의 원인
: 시대가 바뀌면-역사적인 원인 | 언어적인 원인 1. 다 말하지 않아도 되어서-생략 | 언어적인 원인 2. 어울리다 보니 물들어서-전염 | 언어적인 원인 3. 서로 경쟁하다 보니-유의 경쟁 | 언어적인 원인 4. 새롭게 인연을 맺어서-의미의 유연화 | 사회가 바뀌면-사회적인 원인 | 유사성에 착안하면-심리적인 원인

단어의 합이 문장은 아니다 |문장의 의미와 의미 관계|
어휘와 문장 구조가 다른 _유의 관계 문장
한 가지 기준을 적용한다 _반의 관계 문장
이런 뜻도 되고 저런 뜻도 되고 _중의문
얼마나, 어디까지? _모호문

7장 발화와 담화-화용론

상황 속에서 주고받는 말 |발화|
세 가지 행위가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 _발화 행위
상황이 먼저냐, 의도가 먼저냐 _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

또 다른 의미가 숨어 있다 |함축|
대화에서 지켜야 할 것 _대화 격률
: 대화 격률을 지키지 않으면-격률 울타리
이, 그, 저 _직시

담화
담화의 요소
담화의 기능
담화의 요건
: 통일성 | 반복과 생략-응집성 | 지시 표현 | 접속 표현

8장 한국어의 규범

표준어 사정 원칙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 자음 | 모음 | 준말 | 단수 표준어 | 복수 표준어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 단수 표준어 | 복수 표준어

표준 발음법
자음과 모음
음의 길이
받침의 발음

한글 맞춤법
ㅎ 불규칙 활용
접미사
합성어 및 접두사
준말
띄어쓰기
그 밖의 것
문장 부호

외래어 표기법
표기의 원칙
표기 세칙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표기상의 유의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