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01 국어란 무엇인가?
1. 우리에게 말이 있다 = 12
2. 우리말ㆍ한국어ㆍ국어 = 13
3. 한국어는 어떤 말인가? = 14
(1) 교착어 = 15
(2) 다음절어 = 17
4. 디지털 문자인 한글 = 18
(1) 말과 글자 = 18
(2) 한국인, 소리글자를 만들다 = 19
(3) 한글의 음소 = 21
(4) 한글, 디지털 문자임을 선언하다 = 23
(5) 자모가 결합해야 소리가 난다 = 25
(6) 한자어 영향과 음절의 기능 변화 = 26
(7) 한글 음절의 종류 = 27
5. 소리 표기 규정 = 29
(1) 원칙 = 29
(2) 된소리 표기 = 29
(3) 구개음화(''ㅈ, ㅊ'' 소리 표기) = 30
(4) ''ㄷ'' 소리 받침 표기 = 30
(5) 모음 ''ㅔ''의 표기 = 31
(6) 모음 ''ㅣ''의 표기 = 31
(7) 두음 법칙 = 32
(8) 겹쳐 나는 소리 = 34
연습문제 = 35
토론주제 = 37
02 형태소
1. 형태소를 알면 국어가 보인다 = 40
(1) 형태소의 발견 = 41
(2)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 43
(3)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 45
(4) 어휘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 = 47
(5) 불완전 형태소 = 47
(6) 한자 형태소 = 49
(7) 형태소의 길이 = 51
2. 한글 맞춤법상의 형태소 표기 = 53
[1] 형태를 유지하는 형태 = 54
(1) 어간에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 54
(2) 명사에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 55
(3)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붙은 경우 = 55
(4) 사동 접사, 피동 접사 등의 결합 = 55
(5) ''-하다, -거리다''가 붙을 수 있는 어근 = 56
(6) ''-거리다''가 붙을 수 있는 시늉말 = 56
(7) 어근에 ''-히''나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된 것 = 57
(8) 어근에 ''-하다''나 ''-없다''가 붙은 것 = 58
[2] 형태를 유지하지 않는 형태소 = 58
(1) 두 용언이 합해진 듯이 보이지만 본 뜻에서 멀어진 것 = 58
(2) 어간에 ''-이'', ''-음/-ㅁ''이 붙은 것 가운데에서 어간의 본뜻과 멀어진 것 = 59
(3) 어간에 ''-이''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붙는 경우는 어근의 형태를 밝혀 적지 않는다 = 59
(4) 어간에 ''-이''나 ''-음/-ㅁ'' 이외의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어간의 원형을 밝히지 않는다 = 59
(5) 겹받침의 끝소리가 드러나지 않고, 앞 소리만 나는 경우에는 어간의 원형을 밝히지 않는다 = 60
(6) 겹받침인 용언의 어간과 관계가 별로 없거나 불확실한 경우에는 어간의 원형을 밝히지 않는다 = 61
(7) 용언의 어간에 ''-이, -우, -히''가 붙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어근의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 61
(8) ''-업'', ''-읍'', ''-브-''가 붙어서 된 말은 소리대로 적는다 = 61
(9) ''-하다'' 나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어근의 원형을 밝히지 않는다 = 61
(10) ''-하다'' 가 붙지 않은 낱말은 소리대로 적는다 = 61
(11) 어원은 분명하지만 소리가 특이하게 변한 것은 변한 대로 적는다 = 62
(12) 어원이 불분명한 형태소는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 52
3. 형태소의 결합 = 62
4. 형태소의 사회적 의미 = 65
연습 문제 = 67
토론 주제 = 73
03 낱말
1. 개요 = 76
(1) 낱말의 개념과 형태 = 76
(2) 낱말의 형성과 변화 = 78
2. 낱말의 종류 = 79
(1) 실질어와 형식어 = 79
(2) 단일어와 복합어 = 79
(3)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 80
3. 낱말의 의미 관계 = 81
(1) 동의어 = 81
(2) 반의어 = 82
(3) 유의어 = 82
(4) 동음이의어 = 83
(5) 다의어 = 87
(6) 낱말의 중의성 = 88
(7) 사전적 의미와 문맥적 의미 = 90
(8) 낱말의 어감에서 의미까지 = 91
4. 낱말의 사회적 의미 = 96
연습 문제 = 112
토론 주제 = 121
04 접사
1. 접사 형태소 = 124
(1) 접두사 = 124
(2) 접두사와 관형사 = 126
(3) 접미사 = 129
(4) 접미사와 명사 = 131
(5) 접미사와 조사 = 132
2. 접두사의 종류 = 133
(1) 고유한 의미가 있는 것 = 133
(2) 고유한 의미가 없는 것 = 134
3. 접미사의 종류 = 136
(1) 품사 전성 접미사 = 136
(2) 사동, 피동 강조 접미사 = 138
(3) 의미 보조 접미사 = 138
4. 한자어 접두사, 접미사 = 140
(1) 접두사로 쓰이는 한자어 = 141
(2) 접미사로 쓰이는 한자어 = 141
(3) 접두사와 구별해야 할 한자어 = 142
(4) 접미사와 구별해야 할 한자어 = 142
5. 접사의 사회적 의미 = 143
연습 문제 = 145
토론 주제 = 147
05 조어법
1. 개요 = 150
2. 복합어 = 151
3. 합성어의 조어법 = 153
(1) 명사와 명사의 결합 = 154
(2) 명사/명사형과 용언의 결합 = 157
(3) 명사형과 명사의 결합 = 158
(4) 관형사형과 명사의 결합 = 158
(5) 어간과 명사의 결합 = 159
(6) 용언과 용언의 결합 = 160
(7) 그 밖의 낱말의 결합 = 163
(8) 사잇소리 표기 = 165
4. 파생어의 조어법 = 169
(1) 접두사를 이용한 파생어 = 170
(2) 접미사를 이용한 파생어 = 172
5. 한자어 조어법 = 182
(1) 대응되는 의미의 대등적 합성 = 182
(2) 비슷한 의미의 대응적 합성 = 183
(3) 두 의미의 문법적 합성 = 183
(4) 의미의 부정을 위한 합성 = 184
(5) 명사화 합성 = 184
(6) 비슷한 음운으로 합성 = 185
(7) 같은 말을 겹쳐서 합성 = 185
(8) 허사를 붙여서 합성 = 185
(9) 고사를 이용해서 합성 = 186
(10) 두 낱말을 줄여서 합성 = 186
(11) 외래어 음역 = 186
(12) 한자어 조어법과 우리말 = 186
6. 우리말 신조어 = 188
(1) 신조어 만들기 = 188
(2) ''먹거리'' 논쟁 = 190
(3) 신조어와 비속어 = 193
(4) 언어의 전제성과 민주성 = 195
(5) 이름 붙히기 = 197
(6) 영문 간판 = 199
(7) 首爾市長께 = 201
연습 문제 = 203
토론 주제 = 207
06 낱말의 형태 표기
1. 띄어쓰기 = 211
(1) 반드시 붙여 써야 하는 경우 = 211
(2)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 212
(3) 헷갈리기 쉬운 것들 = 219
2. 바뀐 말, 준말 표기 = 227
(1) 활용에 따라 바뀐 말 = 227
(2) 준말 표기 = 230
3. 그 밖의 낱말 형태 확정하기 = 239
4. 낱말 형태 표기와 편의주의 = 243
연습 문제 = 244
토론 주제 = 247
07 표준어
1. 표준어 사정 = 251
(1) 역사 = 251
(2) 표준어 사정 원칙의 의미 = 252
(3) 표준어의 의미 = 254
(4) 표준어의 변화 = 255
2. 표준어의 교체와 추가 = 258
(1) 발음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교체 = 258
(2) 낱말의 소멸에 따른 표준어 교체 = 261
(3) 준말과 본딧말 처리 = 262
(4) 비슷한 용도의 낱말 형태 통일 = 263
(5) 고유어 계열과 한자어 계열 정리 = 265
(6) 비슷한 발음의 단수 표준어 = 266
(7) 비슷한 발음의 복수 표준어 = 268
(8) 같은 뜻의 단수 표준어 = 269
(9) 같은 뜻의 복수 표준어 = 270
3. 표준어의 발음 = 271
(1) 표준 발음 원칙 = 271
(2) 소리의 길이 = 273
(3) 받침의 발음 = 276
(4) 모음 앞에서 받침의 발음 = 278
(5) 소리의 동화 = 280
(6) 된소리되기 = 282
(7) 소리의 첨가 = 286
4. 표준 발음법에 대한 단상 = 288
5. 표준어와 사투리의 조화 = 290
연습 문제 = 293
토론 주제 = 299
08 문법
1. 개요 = 302
[1] 문법 일반 = 302
[2] 국어 문법의 특징 = 305
(1) 곡용과 활용 = 305
(2) 화자의 의도를 어미에 = 307
(3) 높임법 = 308
2. 품사 = 309
[1] 체언 = 309
(1) 명사 = 310
(2) 대명사 = 312
(3) 수사 = 313
(4) 체언의 복수 표시 = 314
(5) 체언과 조사 = 316
[2] 관계언 = 316
(1) 격조사 = 316
(2) 접속 조사 = 320
(3) 보조사 = 321
(4) 조사의 중복 = 324
(5) 조사의 생략 = 324
(6) 조사의 변별 = 327
[3] 용언 = 331
(1) 동사 = 331
(2) 형용사 = 335
(3) 보조 용언 = 336
(4) 용언의 활용 = 338
(5) 어미 = 346
[4] 수식언 = 358
(1) 관형사 = 358
(2) 부사 = 363
[5] 독립언 = 365
연습 문제 = 366
토론 주제 = 379
09 문장 구성
1. 문장의 구성 요소 = 382
[1] 서술어 = 384
(1) 서술어의 종류 = 384
(2) 서술어의 자릿수 = 386
(3) 서술어의 성격 = 389
(4) 서술어의 생략 = 390
[2] 주어 = 391
(1) 주어의 형태 = 392
(2) 주어의 수 = 392
(3) 주어의 일관성 = 393
(4) 주어의 생략 394
[3] 목적어 = 396
(1) 목적어의 형태 = 397
(2) 동족 목적어 = 397
(3) 이중 목적어 = 398
(4) 형식 목적어 = 398
[4] 보어 = 399
[5] 관형어 = 400
(1) 관형어의 종류 = 400
(2) 관형어와 체언의 호응 = 401
(3) 관형어의 순서 = 403
(4) 관형어의 남용 = 404
(5) 관형사형의 어미 형태 = 405
[6] 부사어 = 405
(1) 부사어의 종류 = 405
(2) 부사어의 위치 = 406
(3) 필수부사어 = 407
(4) 부사형과 관형사형의 관계 = 409
[7] 독립어 = 410
2. 문장의 종류 = 411
[1] 홑문장 = 411
[2] 겹문장 = 411
(1) 안은 문장 = 412
(2) 이어진 문장 = 416
3. 호응 = 420
(1) 문법적 호응 = 420
(2) 어휘적 호응 = 426
(3) 논리적 호응 = 430
연습 문제 = 433
토론 주제 = 441
10 표현
1. 서법 = 444
(1) 서법의 종류 = 444
(2) 서법의 제약 = 447
2. 피동 표현 = 448
(1) 피동사와 피동 접사 = 448
(2) 능동문과 피동문 사이의 변환 = 449
(3) 이중 피동 = 451
(4) 통사적 피동문 = 451
3. 사동 표현 = 453
(1) 사동사와 사동 접사 = 453
(2) 주동문과 사동문 사이의 변환 = 454
(3) 통사적 사동문 = 455
4. 부정법 = 457
(1) 동사 서술어를 부정하는 구문 = 457
(2) 형용사 서술어를 부정하는 구문 = 459
(3) 체언 서술어를 부정하는 구문 = 460
(4) 낱말의 일부 형태소만 부정하는 경우 = 460
(5) 긍정문과 부정문의 의미 차이 = 461
5. 시제 = 463
(1) 현재 시제 = 463
(2) 과거 시제 = 465
(3) 미래 시제 = 466
(4) 진행상(進行相) = 468
(5) 완료상(完了相) = 468
(6) 대과거 = 469
(7) 과거 회상 = 469
(8) 연결 어미와 시제 = 470
6. 높임법 = 472
[1] 높임법의 실현 = 473
[2] 높임법의 본질 = 474
[3] 높임법의 종류 = 474
(1) 주체 높임 = 475
(2) 상대 높임 = 477
(3) 객체 높임 = 479
(4) 압존법 = 480
(5) 겸양법 = 481
(6) 높임 낱말 = 482
[4] 높임의 일치 = 482
[5] 높임법의 적용 = 483
(1) 나이나 지위에 따른 높임 = 484
(2) 나이와 지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 485
(3) 어린이와 어른 사이의 높임 = 485
(4) 공적인 높임 = 486
(5) 하대와 비속어 = 486
[6] 호칭과 지칭 = 486
[7] 높임법에 대한 인식 전환 = 488
연습 문제 = 491
토론 주제 = 501
11 교열과 윤문
1. 교열(校閱)이란? = 504
2. 교열의 속성 = 506
3. 윤문 = 507
4. 교열의 기준 = 508
(1) 4가지 어문 규범 = 508
(2) 표준 문법(화법 포함) = 508
5. 교열 착안점 예시 = 510
(1) 어문 규정을 기준으로 하는 교열 = 510
(2) 어법을 기준으로 하는 규열 = 513
(3) 호응을 기준으로 하는 규열 = 523
(4) 사실 관계를 기준으로 하는 교열 = 525
6. 윤문 연습 = 526
(1) 어투 일반 = 526
(2) 번잡하거나 서투른 문장 = 528
(3) 어휘 = 529
(4) 표현 = 529
(5) 어순 = 530
(6) 사람 중심의 실습 = 530
7. 교열 및 윤문 실습 = 531
8. 맺음말 = 544
연습 문제 = 546
토론 주제 = 555
뒷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