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목차
참고 목차
인용 자료와 약호


제5장 의미론

5.1. 의미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
5.1.1. 기호와 의미
5.1.2. 언어의 의미
5.1.3. 의미 파악의 방법
5.1.4. 의미의 종류
5.1.5. 의미의 비유적 개념화
5.1.5.1. 개념적 은유
5.1.5.2. 개념적 환유
5.2. 단어의 의미
5.2.1. 단어 의미 파악의 방법
5.2.1.1. 성분 분석
5.2.1.2. 의미장
5.2.2. 의미 관계
5.2.2.1. 동의 관계
5.2.2.2. 반의 관계
5.2.2.3. 상하 관계
5.2.2.4. 부분 관계
5.2.2.5. 다의 관계
5.2.2.6. 동음 관계
5.3. 문장의 의미
5.3.1. 문장 의미 해석의 원리
5.3.2. 문장의 진리치
5.3.3. 중의성과 모호성
5.3.3.1. 중의성
5.3.3.2. 모호성
5.3.4. 함의와 전제
5.3.4.1. 함의의 개념과 생성
5.3.4.2. 전제의 개념과 생성

제6장 화용론

6.1. 화용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
6.2. 발화 의미 해석의 원리
6.3. 대화 함축과 협력 원리
6.3.1. 대화 함축
6.3.2. 협력 원리와 대화 격률
6.3.3. 공손성과 대화 격률
6.4. 발화의 기능
6.4.1. 화행론
6.4.2. 화행의 종류
6.4.3.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
6.5. 직시
6.5.1. 직시의 개념
6.5.2. 직시의 중심
6.5.3. 직시의 유형
6.5.4. 직시와 대용
6.5.5. 한국어 ‘이, 그, 저’ 직시의 특징

제7장 텍스트 언어학

7.1. 텍스트 언어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
7.2. 텍스트성의 요건
7.2.1. 결속 구조
7.2.2. 결속성
7.2.3. 의도성과 수용성
7.2.4. 정보성과 상황성
7.2.5. 상호 텍스트성
7.3. 텍스트의 기능과 유형
7.3.1. 텍스트의 기능
7.3.2. 텍스트의 유형

제8장 어휘론

8.1. 어휘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
8.1.1. 어휘의 특성과 어휘론의 정의
8.1.2. 어휘론의 연구 대상으로서의 어휘부
8.1.3. 어휘론과 어휘 능력
8.1.4. 어휘론의 영역과 인접 분야
8.1.5. 어휘론의 기본 개념
8.2. 어휘 체계 및 어휘 관계
8.2.1. 어휘 체계
8.2.1.1. 한국어 어휘 체계의 특징
8.2.1.2. 고유어
8.2.1.3. 한자어
8.2.1.4. 외래어
8.2.2. 어휘 관계
8.2.2.1. 다양한 어휘 관계들
8.2.2.2. 계열 관계를 갖는 어휘들
8.2.2.3. 통합 관계를 갖는 어휘들
8.2.2.4. 복합 관계를 갖는 어휘들
8.3. 어휘의 공시적 변이
8.3.1. 어휘의 변이와 다양성
8.3.2. 어휘의 지역적 변이
8.3.3. 어휘의 사회적 변이
8.3.3.1. 남성어와 여성어
8.3.3.2. 전문어(혹은 직업어)
8.3.4. 어휘의 상황적 변이
8.3.4.1. 공대말과 겸사말
8.3.4.2. 은어와 속어
8.3.4.3. 금기어와 완곡어
8.3.4.4. 관용 표현
8.4. 어휘의 통시적 변화
8.4.1. 변화하는 어휘
8.4.2. 개별 어휘 형태의 변화
8.4.3. 개별 어휘 의미의 변화
8.4.3.1. 의미 변화의 양상
8.4.3.2. 의미 변화의 원인
8.4.4. 전체 어휘 체계나 양상의 변화
8.4.4.1. 언어 간 접촉에 따른 변화
8.4.4.2. 신어와 사어
8.5. 어휘와 사전
8.5.1. 사전의 개념과 유형
8.5.2. 사전의 구조
8.5.3. 사전 활용

제9장 어문 규범

9.1. 어문 규범
9.1.1. 한글 맞춤법
9.1.1.1. 총칙의 이해
9.1.1.2. 주요 내용
9.1.2. 표준어 규정
9.1.2.1. 총칙의 이해
9.1.2.2. 주요 내용
9.1.3. 외래어 표기법
9.1.3.1. 기본 원칙의 이해
9.1.3.2. 주요 내용
9.1.4. 로마자 표기법
9.1.4.1. 기본 원칙의 이해
9.1.4.2. 주요 내용
9.2. 표준 언어 예절
9.2.1. 호칭어와 지칭어
9.2.2. 높임법
9.2.3. 인사말

제10장 15세기 한국어의 문법

10.1. 음운
10.1.1. 음운 체계
10.1.1.1. 자음 체계
10.1.1.2. 모음 체계
10.1.1.3. 운소 체계
10.1.2. 음절
10.1.3. 음운 현상
10.1.3.1. 음운의 대치
10.1.3.2. 음운의 탈락
10.1.3.3. 음운의 첨가
10.1.3.4. 음운의 축약
10.2. 형태
10.2.1. 단어 형성론
10.2.1.1. 단어 형성의 유형
10.2.1.2. 합성어
10.2.1.3. 파생어
10.2.2. 품사론
10.2.2.1. 품사 분류
10.2.2.2. 명사, 대명사, 수사
10.2.2.3. 동사, 형용사
10.2.2.4. 관형사, 부사, 감탄사
10.2.2.5. 조사와 어미
10.3. 통사
10.3.1. 문장 성분
10.3.1.1. 주어
10.3.1.2. 목적어
10.3.1.3. 보어
10.3.1.4. 서술어
10.3.1.5. 관형어
10.3.1.6. 부사어
10.3.1.7. 독립어
10.3.2. 문장의 확장
10.3.2.1. 접속문(이어진문장)
10.3.2.2. 포유문(안은문장)
10.3.3. 문장의 유형
10.3.3.1. 평서문
10.3.3.2. 의문문
10.3.3.3. 명령문
10.3.3.4. 청유문
10.3.3.5. 감탄문
10.3.4. 높임 표현
10.3.4.1. 주체 높임
10.3.4.2. 객체 높임
10.3.4.3. 상대 높임
10.3.4.4. 높임의 특수 어휘
10.3.5. 시제, 상, 양태
10.3.5.1. 시제
10.3.5.2. 상
10.3.5.3. 양태
10.3.6. 피동과 사동
10.3.6.1. 피동
10.3.6.2. 사동
10.3.7. 부정문
10.3.7.1. 통사적 부정과 어휘적 부정
10.3.7.2. 단형 부정과 장형 부정
10.3.7.3. ‘아니’ 부정과 ‘?’ 부정
10.3.7.4. 부정 명사 ‘아니’
10.4. 어휘
10.4.1. 15세기 한국어 어휘 자료
10.4.2. 어휘 체계
10.4.2.1. 고유어
10.4.2.2. 한자어
10.4.2.3. 외래어
10.4.3. 어휘 관계
10.4.3.1. 동의어
10.4.3.2. 반의어
10.4.3.3. 동음어
10.4.4. 어휘의 변이

제11장 한국어의 역사

11.1. 한국어사의 이해
11.1.1. 한국어사의 개념
11.1.2.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
11.1.3. 한국어사의 시대 구분
11.1.4. 한국어사의 연구 방법
11.2. 음운사
11.2.1. 음운 체계의 변화
11.2.1.1. 자음 체계의 변화
11.2.1.2. 모음 체계의 변화
11.2.1.3. 운소 체계의 변화
11.2.2. 음절의 변화
11.2.3. 음운 현상의 변화
11.2.3.1. 자음 관련 음운 현상의 변화
11.2.3.2. 모음 관련 음운 현상의 변화
11.3. 형태사
11.3.1. 단어의 형태 변화
11.3.1.1. 조사와 어미를 제외한 단어들의 형태 변화
11.3.1.2. 조사의 형태 변화
11.3.1.3. 어미의 형태 변화
11.3.2. 단어 형성법의 변화
11.3.2.1. 단어 형성법 유형의 변화
11.3.2.2. 개별 단어 형성법의 변화
11.4. 통사사
11.4.1. 문장 길이의 변화
11.4.2. 문장 성분의 변화.
11.4.3. 문장 확장의 변화
11.4.4. 문장 유형의 변화
11.4.5. 문법 범주의 변화
11.4.5.1. 높임법
11.4.5.2. 시제와 양태(또는 서법)
11.4.5.3. 사동과 피동
11.4.5.4. 부정
11.4.5.5. 화자 주어 표시와 대상 표시의 ‘-오/우-’
11.5. 어휘사
11.5.1. 어원 연구와 어휘사 연구
11.5.2. 어휘 체계의 변화
11.5.2.1. 어휘 체계의 변화 양상
11.5.2.2. 어휘 체계의 시대별 변화
11.5.3. 개별 어휘의 변화
11.5.3.1. 개별 어휘의 형태 변화
11.5.3.2. 개별 어휘의 의미 혹은 분포 변화
11.5.3.3. 어휘 분화 양상의 시대적 변화

제12장 문자와 표기

12.1. 문자의 이해
12.1.1. 문자의 개념
12.1.2. 문자의 분류
12.2. 한글의 창제
12.2.1. 한글 창제의 원리
12.2.1.1. 초성자의 창제 원리
12.2.1.2. 중성자의 창제 원리
12.2.2. 한글의 특성
12.2.3. 한글 자모의 명칭
12.2.4. 한글 자모의 배열 순서
12.3. 차자 표기
12.3.1. 차자 표기의 원리
12.3.2. 차자 표기의 종류
12.3.2.1. 이두
12.3.2.2. 향찰
12.3.2.3. 구결
12.4. 한국어 표기법의 변천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