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목차
참고 목차

제1장 언어와 한국어

1.1. 언어의 본질
1.1.1. 언어의 특성
1.1.1.1. 이원성과 자의성
1.1.1.2. 창조성과 규칙성
1.1.1.3. 추상성과 분절성
1.1.1.4. 사회성과 초월성
1.1.1.5. 역사성과 문화성
1.1.1.6. 체계성
1.1.2. 언어의 기능
1.1.3. 언어와 인간
1.1.3.1. 언어와 사고
1.1.3.2. 언어와 사회
1.1.3.3. 언어와 문화
1.2. 언어와 언어 연구
1.2.1. 언어 연구의 흐름과 한국어 문법 연구
1.2.2. 규범 문법과 기술 문법
1.2.3. 문법의 정의와 언어 연구의 영역
1.3. 언어로서의 한국어와 한국어의 특질
1.3.1. 국어의 개념과 분포
1.3.2. 한국어의 특질

제2장 음운론

2.1. 음운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
2.1.1. 발음 기관
2.1.2. 음성과 음운
2.1.3. 음소와 운소
2.2. 음운 체계
2.2.1. 자음
2.2.1.1. 자음의 조음 위치
2.2.1.2. 자음의 조음 방식
2.2.2. 모음
2.2.3. 반모음
2.2.4. 장단
2.2.5. 억양
2.3. 음절
2.3.1. 음절의 구조
2.3.2. 음절의 유형
2.4. 음운 현상
2.4.1. 음운 현상의 정의와 분류 기준
2.4.2. 음운의 대치
2.4.2.1. 평파열음화
2.4.2.2. 비음화
2.4.2.3. ‘ㄹ’의 비음화
2.4.2.4. 유음화
2.4.2.5. 경음화
2.4.2.6. 구개음화
2.4.2.7. 두음 법칙
2.4.2.8. 모음 조화
2.4.2.9. 반모음화
2.4.2.10. 그 밖의 음운 현상
2.4.3. 음운의 탈락
2.4.3.1. 자음군 단순화
2.4.3.2. 후음 탈락
2.4.3.3. 유음 탈락
2.4.3.4. 모음 탈락
2.4.4. 음운의 첨가
2.4.4.1. ‘ㄴ’ 첨가
2.4.4.2. 반모음 첨가
2.4.5. 음운의 축약
2.5. 형태소의 교체
2.5.1. 교체의 정의와 기본형
2.5.2.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2.5.3.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
2.5.4. 음운론적 교체와 비음운론적 교체

제3장 형태론

3.1. 단어 구성의 기본적 이해
3.1.1. 형태론과 형태론의 단위
3.1.1.1. 형태론의 영역
3.1.1.2. 단어의 분석과 형태론의 단위
3.1.2. 형태소
3.1.2.1. 형태소의 정의와 하위분류
3.1.2.2. 형태소, 형태, 이형태
3.1.3. 단어
3.1.3.1. 단어의 정의
3.1.3.2. 단어의 범위와 관련한 여러 논의들
3.2. 단어 형성론
3.2.1. 단어 형성의 유형
3.2.1.1. 단어 형성의 원리
3.2.1.2. 분석의 관점과 형성의 관점
3.2.1.3. 형성 방식에 따른 단어의 유형
3.2.1.4. 신조어와 순화어
3.2.2. 합성어
3.2.2.1. 합성어와 구
3.2.2.2. 합성어 형성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
3.2.2.3. 합성어의 유형
3.2.2.4. 합성 명사
3.2.2.5. 합성 명사와 사잇소리 현상
3.2.2.6. 합성 형용사
3.2.2.7. 합성 동사
3.2.2.8. 합성 부사
3.2.2.9. 반복 합성어
3.2.3. 파생어
3.2.3.1. 파생법과 파생 접사
3.2.3.2. 파생 접사의 생산성
3.2.3.3. 파생어 형성과 단일어화
3.2.3.4. 파생어 형성 규칙의 제약
3.2.3.5. 접두 파생법
3.2.3.6. 접미 파생법
3.2.4. 한자어
3.2.4.1. 한자어의 범위
3.2.4.2. 한자어 단어 형성의 특징
3.2.4.3. 한자어 합성법
3.2.4.4. 한자어 파생법
3.3. 품사론
3.3.1. 품사 분류
3.3.1.1. 품사 분류의 필요성
3.3.1.2. 품사 분류의 기준
3.3.1.3. 한국어의 품사 체계
3.3.1.4. 품사의 통용
3.3.2. 명사, 대명사, 수사
3.3.2.1. 명사
3.3.2.2. 대명사
3.3.2.3. 수사
3.3.3. 동사, 형용사
3.3.3.1. 동사
3.3.3.2. 형용사
3.3.3.3. 이다
3.3.4. 관형사, 부사, 감탄사
3.3.4.1. 관형사
3.3.4.2. 부사
3.3.4.3. 감탄사
3.3.5. 조사와 어미
3.3.5.1. 조사
3.3.5.2. 어미

제4장 통사론

4.1. 통사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
4.1.1. 통사론과 통사 단위
4.1.2. 문장의 구조를 보는 두 가지 관점
4.1.2.1. 문장의 통사 구조
4.1.2.2. 문장의 정보 구조
4.1.3. 어순
4.2. 문장 성분과 문형
4.2.1. 문장 성분의 개념과 종류
4.2.2. 주어
4.2.3. 목적어
4.2.4. 보어
4.2.5. 서술어
4.2.6. 관형어
4.2.7. 부사어
4.2.8. 독립어
4.2.9. 문장 성분과 격
4.2.10. 서술어의 자릿수와 문형
4.2.10.1. 논항, 자릿수, 의미역
4.2.10.2. 문형
4.3. 문장의 확장
4.3.1. 단문과 복문
4.3.2. 접속문(이어진문장)
4.3.3. 포유문(안은문장)
4.3.3.1. 명사절을 안은 문장
4.3.3.2. 관형사절을 안은 문장
4.3.3.3. 부사절을 안은 문장
4.3.3.4. 서술절을 안은 문장
4.3.4. 겹문장의 문법적 특성
4.4. 문장의 유형
4.4.1. 평서문
4.4.2. 의문문
4.4.2.1. 판정 의문문
4.4.2.2. 설명 의문문
4.4.2.3. 선택 의문문
4.4.2.4. 메아리 의문문
4.4.2.5. 자문(自問)
4.4.3. 명령문
4.4.4. 청유문
4.4.5. 감탄문
4.4.6. 문장의 유형과 화행
4.5. 높임 표현
4.5.1. 높임 표현의 개념과 종류
4.5.2. 주체 높임
4.5.3. 객체 높임
4.5.4. 상대 높임
4.5.5. 겸양 표현
4.5.6. 높임의 특수 어휘
4.6. 시제와 상
4.6.1. 시제의 개념
4.6.2. 절대 시제와 상대 시제
4.6.3. 시제의 종류
4.6.3.1. 현재 시제
4.6.3.2. 과거 시제
4.6.3.3. 미래 시제
4.6.4. 상의 개념
4.6.5. 문법상
4.6.5.1. 진행상
4.6.5.2. 완료상과 결과상태상
4.6.6. 어휘상
4.6.7. 문법상과 어휘상의 연관성
4.7. 양태
4.7.1. 양태에 대한 기본적 이해
4.7.1.1. 양태의 의미 영역
4.7.1.2. 양태의 실현 형식
4.7.2. 선어말 어미로 표현되는 양태
4.7.2.1. ‘-겠-’
4.7.2.2. ‘-더-’
4.7.2.3. ‘-(으)리-, -니-, -것-’
4.7.3. 종결 어미로 표현되는 양태
4.7.3.1. ‘-지’
4.7.3.2. ‘-네’, ‘-구나’
4.7.3.3. ‘-(으)ㄹ래’, ‘-(으)ㄹ까’
4.7.4. 연결 어미나 전성 어미로 표현되는 양태
4.7.5. 통사적 구성으로 표현되는 양태
4.8. 피동과 사동
4.8.1. 피동과 사동의 개념
4.8.2. 피동의 종류
4.8.2.1. 피동사 피동
4.8.2.2. ‘-아/어지다’ 피동
4.8.3. 피동의 특성 및 제약
4.8.4. 사동의 종류
4.8.4.1. 사동사 사동
4.8.4.2. ‘-게 하다’ 사동
4.8.5. 사동의 특성 및 제약
4.8.5.1.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
4.8.5.2. 사동의 제약
4.9. 부정문
4.9.1. 부정문의 개념
4.9.2. 부정의 종류
4.9.2.1. 통사적 부정과 어휘적 부정
4.9.2.2. 단형 부정과 장형 부정
4.9.2.3. ‘안’ 부정과 ‘못’ 부정, ‘말다’ 부정
4.9.3. 부정문의 특성
4.9.3.1. 부정극어와의 어울림
4.9.3.2. 부정문의 중의성
4.9.3.3. 부정문과 확인문
4.9.3.4. 부정문 관련 제약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