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이만규의 삶과 교육사관 / 심성보(부산교육대학교 교수)


제1장 서론
1. 교육사 | 2. 교육사상의 변천 | 3. 개인주의 교육사상 | 4. 사회주의 교육사상 | 5. 조선교육사 연구의 목적


제1부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제2장 원시시대의 교육 1. 연구의 목표 | 2. 지능 | 3. 사회조직 | 4. 신앙사상 | 5. 경제관념 | 6. 교육적 설명
제3장 부여와 한(韓) 시대의 교육 1. 시대상 | 2. 부여·한 시대의 교육사상
제4장 삼국시대의 교육 1. 시대상 | 2. 문자교육 | 3. 학교 | 4. 사회상 | 5. 교육의 목적과 방식 | 6. 화랑도 교육 | 7. 중국류의 교육
제5장 남북조시대의 교육 1. 남조(통일신라)의 교육 | 2. 북조(발해)의 교육
제6장 고려시대의 교육 1. 시대상 | 2. 교육 성쇠의 개관 | 3. 교육제도 | 4. 과거 | 5. 고려의 사상싸움과 교육사상 | 6. 저명한 교육가


제2부 조선시대의 교육

제7장 조선시대 교육의 개요 1. 시대상(1884년까지) | 2. 교육 성쇠의 개관
제8장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1. 성균관 | 2. 사학(四學) | 3. 향학(향교) | 4. 서당(사숙) | 5. 서원
제9장 잡과교육 1. 잡과교육의 필요성|2. 과별 학생 정원|3. 장학 | 4. 과시와 과목 | 5. 취재(取才)와 과목 | 6. 잡과교육의 결함
제10장 여자교육 및 아동교육 1. 여자교육 | 2. 아동교육
제11장 과거 및 장학 1. 과거 | 2. 장학(특히 임금의 장학)
제12장 조선의 교육사상 1. 삼봉 정도전 | 2. 양촌 권근 | 3. 야은 길재 | 4. 강호 김숙자 | 5. 점필재 김종직 | 6. 정암 조광조 | 7. 화담 서경덕 | 8. 남명 조식 | 9. 퇴계 이황 | 10. 율곡 이이 | 11. 성호 이익 | 12. 교육사상의 총괄
제13장 조선교육의 개괄적 평가 1. 제도의 진보 | 2. 교육사상의 특징과 결함 | 3. 기형 교육


제3부 조선시대 말 27년간 교육

제14장 신교육의 유도 1. 새 교육과 새 사상 | 2. 서양의 기계와 서적 유입 | 3. 서양학에 대한 선인의 사상 | 4. 쇄국주의의 몰락 | 5. 기독교의 활동
제15장 신교육의 태동기(1884~1894) 1. 시대상 | 2. 신교육의 태생(胎生)
제16장 신교육의 계몽기(1894~1905) 1. 시대상 | 2. 신교육의 출발 | 3. 실시와 내용(관립학교 | 4. 사립학교| 5. 새 교육에 대한 일반의 태도 | 6. 학교를 통하여 본 교육사조
제17장 신교육의 각성기(1905~1910) 1. 시대상 | 2. 교육사조의 전모 | 3. 학부의 교육방침 | 4. 일본인의 태도 | 5. 각 관계 법규와 실시의 대강 | 6. 법규의 내용과 실시 | 7. 사립학교 | 8. 교과서


제4부 일제강점기 36년간 교육

제18장 실용주의 표방기(1910~1919) 1. 데라우치의 언명 | 2. 실용주의의 속셈 | 3. 교육의 착안점 | 4. 교육령 | 5. 학제의 가치 | 6. 학제의 내용과 실시 | 7. 교원이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 | 8. 사립학교 규칙 | 9. 사립학교의 고통 | 10. 사립학교의 태도 | 11. 기독교 선교사단의 항의 | 12. 교육상황 일람 | 13. 독립운동과 학원 | 14. 학생의 향학열 침체와 부흥
제19장 준거주의 표방기(1919~1931) 1. 전기―교육 개혁기(1919~1925) | 2. 후기―교육 침체기(1926~1931)
제20장 ‘교육이 곧 생활’주의 표방기(1931~1936) 1. 교육이 곧 생활의 의의 | 2. 농촌진흥운동과 교육 | 3. 농촌 갱생과 교육보급 정책의 속셈 | 4. 근로교육과 정신교육 | 5. 교육의 실제 시설 | 6. 조선 여자 교육에 대한 일본인의 태도 | 7. 제2차 초등교육 확충계획 | 8. 학원 내의 사상
제21장 교육 파멸기(1936~1945. 8. 14) 1. 자본주의의 말기 시대상 | 2. 파멸적 교육 | 3. 교육령 개정과 조선어 폐지 | 4. 학교의 뒤바꿈질 | 5. 시설 | 6. 사립학교 | 7. 학교의 전모(1943년 5월 현재) | 8. 교육의 식민지 정책 | 9. 일본 유학생 단속 | 10. 전란 중의 기독교계 학교 | 11. 학생의 사상 | 12. 스승의 길
제22장 교육가 전기 1. 서설 | 2. 남강 이승훈 | 3. 한서 남궁억
제23장 신교육의 총평과 전망 1. 이원성 해소 | 2. 생산교육 | 3. 애국사상 | 4. 민주주의 교육 | 5. 문화재건 교육 | 6. 예술교육 | 7. 국민교육상으로 본 종교


교육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