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한국 전통색의 이해

1. 한국인의 색채의식
―색의 언어적 고찰
―전통색의 생성
―한국인의 색채관
―백의민족

2. 한국 전통색의 역사
―고대와 샤머니즘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3. 고문헌 속의 색채
―선화봉사고려도경
―조선왕조실록
―산가요록
―국조오례의
―악학궤범
―본초강목
―각의궤의예소
―동의보감
―천공개물
―개자원화전
―성호사설
―국혼정례
―탁지준절
―상방정례
―산림경제
―이수신편
―청장관전서
―한중록
―해동농서
―임원십육지
―만기요람
―규합총서
―궁중발기
―한양가
―오주연문장전산고

2장 한국 전통색의 체계

1. 음양오행사상과 색채관
―하도낙서
―음양
―오행·오상
―태극도설
―사상팔괘

2. 정색과 간색
―오방정색
―십간색
―오방정색과 십간색, 하도낙서
―생활 속의 오방정색
―오방정색과 소리
―오방정색과 태극기

3. 한국 전통색의 색상과 농담
―한국 전통색의 표준체계
―색상체계
―농담체계

3장 한국 전통색의 해설

1. 적색
―갈색
―강색
―노홍색
―다자색
―단색
―도홍색
―동색
―등색
―목홍색
―번색
―보라색
―비홍색
―석간주색
―성홍색
―연지색
―위색
―육색
―은색
―자색
―자주색
―장단색
―적색
―적자색
―적토색
―적황색
―전색
―정색
―주색
―주홍색
―진색
―천색
―추향색
―포도색
―혁색
―현훈색
―호색
―홍색
―확색
―훈색
―휴색

2. 황색
―괴색
―규색
―금색
―다할색
―돈색
―두록색
―등황색
―락색
―백황색
―상색
―송화색
―아황색
―아황색
―운색
―웅황색
―유황색
―자황색
―자황색
―장색
―지황색
―치자색
―침향색
―토색
―행황색
―호박색
―홍황색
―화색
―황상색
―황색

3. 청색
―감색
―군청색
―남색
―녹색
―뇌록색
―단청색
―대홍관록색
―번루색
―벽색
―복청색
―비색
―삼록색
―삼청색
―아청색
―애색
―앵가록색
―양록색
―옥색
―유록색
―유록색
―정색
―창색
―창록색
―천청색
―청색
―청록색
―청자색
―청현색
―초록색
―총색
―취람색
―류청색
―포도청색
―포두청색
―표색
―하엽색

4. 흑색
―검색
―날색
―담색
―담색
―로색
―맘색
―묵색
―미색
―오색
―유색
―이색
―이색
―조색
―참색
―추색
―치색
―칠색
―현색
―흑색

5. 백색
―교색
―구색
―백색
―분색
―설백색
―소색
―애색
―운백색
―유백색
―지백색
―파색
―학색
―호색
―호색
―회색

4장 생활 속의 색채

1. 예절과 색채
―국조오례
―반차도
―관혼상제
―벽사와 생활

2. 의복과 색채
―조선시대의 복색의 발전
―조선시대의 왕복과 관복
―조선시대 서민의 예복
―장신구 및 패물
―색동
―복색의 금제

3. 음식과 색채
―조선시대의 식생활
―음식과 색채 조화
―음양오행적 상차림

4. 건축과 색채
―조선시대 건축의 특징
―단청의 이해
―단청의 색채
―단청의 종류와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