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새롭게 읽는 우리 인문학의 역사- 인문학박물관 ‘우리 인문학의 역사 교실’ 1기를 마감하며
(인문학박물관 학예실장 강성원)

1강 이중환, 《택리지》(1751)
- 한국적 이상향을 추구한 인문지리서(강사: 양보경)

2강 안확, 《조선문명사》(1923)
- 민족사와 문명사 그리고 정체성 찾기(강사: 류시현)

3강 이여성·김세용, 《숫자조선연구》(1931)
- 식민지와 통계의 내밀한 관계 분석(강사: 서호철)

4강 이만규, 《조선교육사》(1947)
- 한국교육사의 고전, 민족교육사의 고전(강사: 정미량)

5강 박열, 《신조선혁명론》(1948)
- 혁명과 사랑, 그리고 아나키즘(강사: 오제연)

6강 신남철, 《역사철학》(1948)
- 한국 최초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의 현실인식과 각오(강사: 김재현)

7강 김동석, 《뿌르조아의 인간상》(1949)
- 상아탑의 인간상, 혹은 지식인의 운명(강사: 손정수)

8강 백남운, 《쏘련인상》(1950)
- 당대 지식인의 대소對蘇 인식(강사: 이상호)

9강 배성룡, 《농민독본》(1953)
- 농민민주주의의 실현, 농민의 단결과 각성을 촉구하다(강사: 김기승)

10강 김태오, 《미학개론》(1955)
- 대한민국 건립 초 서구 미학사상의 유입(강사: 진중권)

11강 홍기문, 《조선신화연구》(1964)
- 조선신화의 정체성 찾기(강사: 오세정)

12장 이종하, 《우리 민중의 노동사》(2001)
- 민중이 주체인 역사(강사: 김원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