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Ⅰ.형제들의 가족 로망스

1.거세된 채,생존해야하는 ''소설의 가족 로망스''
2.고향의 퍼스펙티브와 가족 로망스
3.전쟁 경험과 가족 로망스
4."진정한 기억"의 딜레마
5.경험과 기억,주체의 역사와 주체화의 과정
6.이야기의 還 혹은 幻
7.소년,만주로 가다

Ⅱ."오,자매여 어디 있는가":여성의 경험과 서사

1.작기성의 불안,혹은 불안의 매너리즘
2.흔적과 연민
3.여성의 입장에서 바라본 근대성과 문학
4.모든 작은 것의 파수꾼,박완서
5.기억의 복원과 방법론적 딜레마
6.초라함의 의미

Ⅲ.가족 로망스의 안과 밖

1.가족 기계에 대한 해부
2.불륜과 로맨스
3.가족 없는 삶의 악몽을 넘어
4.엄마와 숫자 아줌마는 만날 수 있을까?
5.사랑이라는 이름의 버라이어티 쇼
6."낭만적 사랑"이라고 부르는 무호한 생존 방식에 대하여

Ⅳ.주체성과 치아에 대한 사유

1.''개인의 해방과 자유''라는 개념은 안녕하십니까?
2.자유의 새로운 공간을 위하여
3.새로운 주체성의 기획과 복고주의의 역습
4.페미니즘,정치적 게토를 넘어서기 위한 싸움
5.언제나 ''부적격자''인,그대 이름은 여자
6.출산율 제로가 멀지 않다
7.절멸의 공포,남의 말입니까?
8.얼지마,죽지마,부활할거야
9.박해받은 자의 이야기는 어떻게 쓸 수 있나

Ⅴ.문학의 경계

1.''작가''를 찾는 6인의 등장인물
2.''문학''의 경계
3.명예의 전당과 좌판 사이에서
4.소설 책 뒤에 달린 ''이상한 물건''
5.지식인과 대중,저자와 독자 사이에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