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Ⅰ. 일제강점기, ‘동양화’가 탄생하다
1 수묵과 채색의 갈등
2 1910년대, 서양 문물의 이식과 전통화단
3 1920년대, 변화하는 동양화
4 1930년대 이후, 인물화의 재발견

Ⅱ. 1950년대, 대한민국의 형성과 미술계의 변화
1 국전의 발족과 갈등
2 국전에 대한 반발과 외국에 소개된 한국 미술
3 가톨릭 교회와 장우성의 한국적 성화

Ⅲ. 1960∼1970년대, 전통화단의 도약
1 민족중흥 정책과 한국미술의 붐
2 국민 그림으로 등극한 사경산수화
3 인물화의 두 얼굴, 현장의 일꾼과 장인
4 지필묵으로 시도된 비구상, 〈묵림회〉

Ⅳ. 1980년대, 동양화에서 한국화로
1 민간이 주도한 공모전과 ‘한국화’
2 수묵화운동
3 서정성이 깃든 자연, 산수 풍경화
4 채묵화와 도시 풍정

Ⅴ. 1990년대 이후의 한국화, 재료와 장르를 넘다
1 수묵 추상의 새로운 장
2 지필묵의 경계 확장
3 색, 삼라만상을 드러내다
4 남북 화합의 아이콘, 신금강도

맺음말


작품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