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부

일본 훈점의 일원류
상고시대에 있어서 차자표기법의 발달
일본훈점어학의 제문제 - 비교훈독을 중심으로
한적 훈점자료에서 『세설신서』의 위치
일본 경도국립박물관 소장 『세설신서』와 내각문고 소장 『세설신어』의 비교연구
한글 각필 문 『맹자』에 보이는 각필 반독록
증본 『화엄경』 권필20의 점토 각독
점토 체계의 특징이 부호의 사용에 미치는 영향
석독구결의 피동 표현
『육조대법사보단경』의 구결 연구
Connecting dialects and kwukyel

2부

한국어 한자어의 기준에 대한 관견
사문과 한사문
동아시아의 한문전과 훈점
무후 신자의 창제와 흥 및 문하의 정속 문제에 과한 논의
돈황유서의 이차가공 및 구독에 대한 소고
태당칠년 『감지금자법화경』 팔권 소개
고산사본 『신석화엄경음의』에 대하여
한국 고문의 특징과 고려시대 출판문화
각필의 기원에 대하여
암기본 『일본서기』의 성점에 대한 이고찰
『일본서기』의 중국구어기원 한어의 훈점을 통해 보는 한문훈독의 성격
한자 자에 연구와 문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