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일러두기

1. 사랑
1.1 사랑의 의미
1.2 연애의 탄생
1.3 제도권 안의 사랑, 본원적 욕망
1.4 순연의 사랑, 유폐된 공간의 회로
1.5 나르시시즘의 환영, 자의식의 생장
1.6 금기의 사랑, 앙티 오이디푸스의 욕망
1.7 낭만적 사랑의 젠더성과 허구성
1.8 환(幻)의 긍정, 타자성의 성찰

2. 성
2.1 성 관련 어휘
2.2 성욕의 은유화 방식
2.3 초야, 환희와 일체감
2.4 순결 콤플렉스와 수동적 성의식
2.5 전시된 몸, 제도화된 성
2.6 에로스와 타나토스, 놀이로서의 성
2.7 자발적 욕망, 자기 몸의 순수 응시

3. 성장
3.1 성장의 의미와 변화
3.2 통과제의로서의 성년식
3.3 성년식, 순종하는 삶을 위한 맹서
3.4 입사의 거부, 반성장
3.5 명랑한 아웃사이더, 결핍의 긍정

4. 결혼
4.1 결혼의 의미와 관련 어휘
4.2 정해진 예법, 부부지례의 실천
4.3 새로운 가족관계에의 편입과 갈등
4.4 동화의 종말, 실종된 낙원
4.5 황폐한 사막, 위장된 평화
4.6 파경, 불구의 비상
4.7 계약과 교환, 동거를 위한 묵계
4.8 숙명의 반려, 연민 혹은 연대

5. 가족.가문
5.1 가족 관련 어휘
5.2 가족제도의 변화
5.3 자궁의 가문, 사회적 성취 욕구의 통로
5.4 최상의 천륜, 강요된 효
5.5 양자, 가문의 존속
5.6 열녀, 여성 인재 역설
5.7 비호 혹은 족쇄
5.8 모성과 효 새로 쓰기, 대안 가족

6. 민족.국가
6.1 국가 관련 어휘의 변화
6.2 국가와 여성의 삶
6.3 인재, 정치의 근본
6.4 국권 회복, 역사의 주체
6.5 국민 여성, 수호와 억압
6.6 통제와 감시의 시스템
6.7 후일담, 상처의 공유와 연대
6.8 디아스포라, 반국가.비국가적 연대

7. 교육
7.1 여훈서, 가문의 영광을 비추는 거울 만들기
7.2 여학고, 현모양처 만들기
7.3 부도와 예법, 여성의 구속
7.4 계몽과 자의식의 사이
7.5 지식의 권력, 허무와 자조

8. 일
8.1 일의 의미와 관련 어휘
8.2 오락한 삶와 자존의식, 기녀
8.3 보이지 않는 노동, 식모
8.4 경제적 주체로서의 몸 팔기, 직업여성
8.5 자동화된 남루한 일상, 샐러리맨과 백수
8.6 상처의 응시와 균열의 봉합, 작가

9. 돈
9.1 돈의 명칭과 변천사
9.2 재로서의 돈
9.3 치산의 결과물
9.4 여성 노동의 화폐화와 여성의 주체화
9.5 물질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의 혼돈
9.6 여성과 자본의 호환성
9.7 소비의 향유, 욕망의 발현

10. 종교
10.1 종교 어휘의 의미와 종교관
10.2 종교와 여성
10.3 기원과 축원
10.4 여신 혹은 여성 영웅
10.5 이방의 종교, 이브의 항거
10.6 신경증과 세러피

11. 놀이
11.1 놀이의 의미와 기능
11.2 잔치, 가족 갈등의 해소
11.3 문화 공간의 탄생, 시사
11.4 유람과 연회
11.5 감정과 감각의 해방
11.6 수다, 유희와 공존의 원리
11.7 반축제, 무위 혹은 혼자 놀기

12. 죽음
12.1 죽음 관련 어휘와 의미
12.2 죽음에 대한 인식
12.3 죽음에의 애도, 메멘토모리
12.4 자살, 현실에 대한 저항
12.5 지워진 여성사, 가부장적 죽음관
12.6 근원적 집으로의 회귀, 삶의 존엄

13. 말
13.1 여성의 말
13.2 소통의 욕망, 편지와 전화
13.3 하위언어, 수다와 욕설
13.4 몸의 언어, 춤과 노래

어학 참고문헌
작품 출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