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감사를 드리고 싶은 분들에게

1장 | 담론에 들어가기 전의 잡론(雜論)
1. 무의 체험: 없는 것을 본다
2. 무덤을 찾아다니며
3. 책, 인쇄, 출판문화

2장 | 복(福)이란 무엇인가
1. 복이란 말의 쓰임새
2. 복과 행복
3. 복의 한국적 표상과 네 눈

3장 | 수(壽)사상의 현세긍정주의
1. “세상 곧 자연”의 무역사성
2. 고대 그리스인의 사생관
3. 일본 무사(武士)의 아르스 모리엔디
4. ‘무정세월’과 하여가(何如歌)

4장 | 부(富)사상의 망라주의
1. 나라도 구제 못했던 가난
2. 물질적 무선별의 망라주의
3. 정신적 무선별의 망라주의

5장 | 다남(多男)의 소망과 여성의 소임
1. 생산성 위주의 여성관
2. 칠거지악과 기자(祈子) 풍습
3. 사속 관념, 가문의식, 족보제도

6장 | 귀(貴)의 사상: 벼슬과 치부의 일원 구조
1. 모든 것에 내재하는 보편적 가치
2. 관작, 벼슬로만 이해된 한국의 ‘귀’
3. ‘귀’한 사람의 세 범주
4. 과거(科擧)의 폐, 붕당의 화

7장 | 귀(貴)의 사상: 한국적 기치관의 기틀
1. 내면적 ‘귀’와 외면적 ‘귀’
2. 가치란 보기 위한 ‘관점’
3. 권세 지향, 관존민비, 출세주의
4. 공(公)의 세계 없는 기복사상

8장 | 복은 어떻게 누리게 되나
1. 화복천정과 복인복과
2. 복사상의 권선징악 기능(?)

9장 | 근대화와 기복사상
1. 모든 신앙의 기복 종교화
2. 유교적 속박서 풀려난 기복사상
3. 급증한 자살률, 급감한 출산율

10장 | 복(福)의 비판적 성찰
1. 수·부·귀·다남의 공약수
2. 타자(他者)의 부재
a. 친구가 보이지 않는 한국 소설
b. 고대 그리스인의 ‘행복’과 친구
c. 키케로의 ‘우정론’
3. 초월(超越)의 부재
a. ‘보다 많은 삶’과 ‘삶 이상의 것’
b. 학문의 세계와 초월
c. 예술의 세계와 초월
d. 소유 가치와 체험 가치
e. 가치관의 다원화와 비평 정신
4. 21세기의 보편 윤리와 기복사상
a. 한국적 휴머니즘을 위하여

11장 | 담론을 끝마친 뒤의 변론(辯論): 인문학을 공부하려는 젊은이들에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