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책머리에·5

제1장 | 이야기의 특성과 분류
1. 이야기의 특성·15
1) 구비문학적 특성·17 | 2) 서사문학적 특성·19 | 3) 산문적 특성·22
4) 문학이라는 특성·23
2. 이야기의 분류·24
1) 신화, 전설, 민담의 3분법·25 | 2) 2분법·27 | 3) 한국설화 분류안·30
3. 단위담의 설정과 분류·42
1) 단위담 분류론의 의의·42 | 2) 단위담의 설정·43 | 3) 이야기의 요소와 분류항·46
4) 단위담의 유형·56
4. 이야기의 전승과 변이·58
1) 이야기의 생리와 전승·58 | 2) 변이의 동인·63

제2장 | 신화적 유형에 담긴 세계관
1. 해와 달 이야기·69
1) 창세신화·69 | 2) 인류시원신화·76 | 3) <해와 달이 된 오누이>·79
4) 연오랑 세오녀·82 | 5) 해와 달 이야기의 배경사상·88
2. 일월노리푸념과 유사설화·90
1) 일월노리푸념·90 | 2) 예성강·92 | 3) 도미·94 | 4) 우렁각시·98
5) 일월노리푸념의 가정신화적 성격·101

제3장 | 전설적 유형에 나타난 인간관과 민족의식
1. 장자못 전설·113
1) 장자못 전설에 나타난 인간관·113 | 2) 몽골설화 <사냥꾼 카리이프>와 비교·118
2. 천자(天子)전설·122
1) 명태조 전설·124 | 2) 청태조 전설·138 | 3) 야래자설화의 신화적 성격·146
4) 청태조 전설과 삼천녀 전설·159 | 5) 한천자 전설과 명태조 전설·163
6) 천자전설에 나타난 민족의식·174
3. 금척전설과 치병척 설화·179
1) 금척전설·179 | 2) 치병척 설화―대길몽 설화·183 | 3) 신화에서 민담으로의 변모·186

제4장 | 민담의 의미와 해석
1. 호랑이 이야기·192
1) 호랑이 형님·192 | 2) 포수와 호랑이·201 | 3) 호랑이와 곶감·209
2. 구렁이 이야기·213
1) 구렁덩덩신선비·213 | 2) 네모난 구슬·237 | 3) 종소리·243
4) 구렁이와 지네의 승천다툼·262

제5장 | 소화와 재담에 나타난 웃음과 재치
1. 소화의 특성과 웃음이론·277
1) 소화, 재담, 웃음·277 | 2) 웃음 이론·284
2. 소화를 통해 본 웃음의 성격·297
1) 동물적 속성의 발현―비천함의 모방·299 | 2) 지적(知的) 우월감의 인식―무식담·306
3) 기계적 경직성·313 | 4) 망각담·317 | 5) 모방담·322
3. 재담의 기법과 재치·346
1) 어희담·346 | 2) 문자담·355 | 3) 재담의 문학적 의의·364

_찾아보기·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