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책머리에·5

제1장 | 인문적 사유의 자유-가능 언어의 모색

편재적 인문성·17
[1] 여는 말: 인문성과 가능성 언어·17
[2] 문학·사학·철학의 인문성·20
[3] 언어·예술·종교의 인문성·29
[4]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인문성·34

인문성과 인문학·42
[5] 편재적 인문성과 반인문적 개입성·42
[6] 자유의 인문성과 체계의 인문학·47
[7] 자연-사회현상의 외연성과 내포성·53
[8] 맺는 말: 인문성과 자서전·58

제2장 | 체계 의존적인 진리

세계를 보는 다양한 체계·63
[1] 여는 말: 다원주의 시대·63
[2] 패러다임·67
[3] 포스트모더니즘·73
[4] 상대주의·79

진리는 체계 의존적·91
[5] 언어: 누구의 이성으로?·91
[6] 실체적 진리, 문장적 진리·98
[7] 진리의 체계 의존성·100
[8] 맞음의 자연주의와 다원주의·105
[9] 맺는 말: 체계 진지성과 선악의 역지사지·109

제3장 | 심리 언어-담론의 결과

심리 언어는 사적이지 않다·115
[1] 여는 말: 내 마음 나만 안다?·115
[2] 심리 언어 그리고 사적 언어·122
[3] 사적 언어의 불가능성·126
[4] 같은 마음·131

심리 언어도 사회적 담론·137
[5] 심성내용의 탐구·137
[6] 담론과 이론·146
[7] 담론: 개성 차이와 인간 연대·151
[8] 심리 언어의 담론적 신체성·155
[9] 맺는 말: 영안실의 담론 문법·163

제4장 | 달리 말하지만 같은 것

이론 간의 공지칭성·169
[1] 여는 말: 이론간 비통약성과 실재·169
[2] 지칭론과 기술론·171
[3] 고정지시어와 본질·176
[4] 공지칭성·181

공동선의 실재성·188
[5] 일원적 공동선: 모두에게 좋은 것·188
[6] 다원적 공동선: 성기성물·194
[7] 성기성물의 실재성·202
[8] 맺는 말: 인사의 다원주의적 실재성·209

제5장 | 다원주의적 실재론의 개연성 토론
-강진호, 김선희, 선우환, 정인경, 청중 참가자, 정대현

언어 다원성·215
[1] 토론을 위한 발제·215
[2] 인문성과 담론 다원성·220
[3] 진리 상대성과 이론 다원성·234

언어 실재성·264
[4] 심리 언어와 담론 실재성·264
[5] 공지칭성과 이론 실재성·272
[6] 일반 토론·305

_후기·319
_참고문헌·323
_찾아보기·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