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 머리말·5
제1강 이 시대에 양명학은 왜 필요한가?
1. 들어가기·19
2. 백암 박은식의 유교구신론·21
3. 위당 정인보의 양명학연론·26
4. 오늘날 양명학이 왜 필요한가?·28
5. 하곡학의 실심실학과 근대화론의 실용실학·34
제2강 양명학의 연원
1. 유학의 르네상스: 신유학(양명학과 주자학)·49
2. 신유학의 철학 사상적 배경·51
3. 신유가를 이해하기 위한 5가지 기본 틀·58
제3강 양명학과 주자학은 무엇이 다른가?
1. 주자[憙]와 왕자[守仁]의 삶과 학문·75
2. 정치지향적 관학(官學)과 사회지향적 민학(民學)·79
3. 이업동도(異業同道)의 사민(四民)·82
4. 친민과 신민·89
5. 심즉리(心卽理)와 성즉리(性卽理)·92
6. 정리(定理)와 조리(條理)·95
7. 도덕심과 인식심·98
8. 존덕성과 도문학·100
9. 거경(居敬)과 성의(誠意)·103
10. 본성[性體]과 본심[心體] 그리고 정감·105
제4강 격물치지란 무엇인가?
1. 들어가기·113
2. 주자의 격물치지(格物致知) 해석에 대한 양명의 회의(懷疑)·115
3. 용장에서의 깨달음과 마음이 곧 이치[心卽理]·124
4. 주희의 격물치지에 대한 비판과 왕양명의 새로운 해석·130
5. 『대학문(大學問)』의 격물치지·136
제5강 양지란 무엇인가
1. 양지와 지각(知覺)의 관계·147
2. 양지의 여러 의미·157
3. 양지와 양심·178
제6강 양지의 실천이 바로 지행합일
1. 앎[知]과 행위[行]의 관계·185
2. 왕양명의 지행합일·189
제7강 치양지
1. 양지를 실행하는 것이 치양지·217
2. 사상마련(事上磨鍊)·234
3. 발본색원(拔本塞源) ―치양지의 이상경지·247
제8강 정감의 알맞음과 어울림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정감론·265
2. 치중화(致中和)론·279
3. 미발 이발론·286
제9강 사구교에 집약된 양명 철학의 정신
1. 사구교(四句敎) 그리고 본체와 공부 문제·303
2. 견재설(見齋說)·315
3. 엄탄(嚴灘)문답·317
4. 사구교에 대한 해석·322
제10강 양지에 의한 심미적 도덕 교육
1. 왕양명의 교육철학 ·339
2. 아동교육론·341
3. 입지(立志)·349
제11강 양지의 종교적 특성
1.영성(靈性)과 내재 초월적인 양지·365
제12강 양명학의 도입과 하곡학
1. 시대 배경·399
2. 양명학 수용·403
3. 어둠 속에서 횃불을 높이 든 하곡 정제두·408
4. 하곡의 실심실학·413
5. 하곡학파의 사상가들·424
부 록 양명학의 정신과 하곡학에 대한 문답
_ 토론 1 (토론자: 송재운)·470
_ 토론 2 (토론자: 이승환)·475
_ 토론 3 (토론자: 김수중)·485
_ 강연 참가 청중의 질문·490
_ 참고문헌·519
_ 찾아보기·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