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 머리말·4

제1장 고려말-조선초 주자학의 수용과 정착과정
1. 고려말 주자학 수용의 성격·13
2. 고려말 주자학 도입의 배경과 도입과정·16
(1) 고려말 주자학 도입의 배경
(2) 고려말 주자학의 도입과정
3. 고려말 주자학의 정착과정과 사회적 의미·35
(1) 고려말 주자학의 정착과정
(2) 고려후기 주자학 수용의 사회적 의미
4. 조선초 전환기의 주자학과 사림파의 성립·50
(1) 조선초 전환기 주자학의 정신
(2) 길재(吉再)와 조선초 사림파의 학맥
5. 정도전과 권근의 주자학 정립·56
(1) 정도전(鄭道傳)의 불교비판과 경세론
(2) 권근(權近)의 성리학과 경학
6. 조선초 전환기 주자학이 지닌 의미·75

제2장 조선시대 도학의 사유체계와 쟁점의 성격
1. 조선시대 도학의 성격과 과제·81
2. 조선시대 도학의 사유체계·84
(1) 우주론적 근원의 ‘일원’(一元)에 따른 통합의 논리
(2) 도덕적 인격 배양과 정당성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신념의 확립
(3) 사회적 질서를 추구하는 예법과 치도의 실현
3. 도통(道統)의 정통의식과 이단비판 논리·94
(1) ‘도통’의 중시와 조선의 ‘도통’인식
(2) 이단비판과 ‘정학’(正學)의 수호
4. ‘심-성’(心性)의 인식과 수양·109
(1) ‘심-성’의 이기론적 인식과 현실적 대응
(2) 심성의 수양론적 이해
5. 의리(義理)의 신념과 치도(治道)의 실현·128
(1) 의리의 기준과 사회적 실현
(2) 치도(治道)의 과제―예교(禮敎)와 경세(經世)
6. 조선시대 도학의 기능과 역기능·144

제3장 조선후기 실학의 세계관과 현실인식의 과제
1.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과제·151
2. 조선후기 실학의 세계관·155
(1) 실학의 ‘열린 정신’과 포용적 자세
(2) 실학의 ‘현실중심의식’과 개혁의 과제
3. 제도개혁과 경세론의 과제·168
(1) 사회제도의 개혁론
(2) 토지제도의 개혁론
(3) 신분제도의 개혁론
4. 서양 과학지식의 수용과 기술의 이용·177
⑴ 서양 과학지식의 수용
⑵ 북학파의 기술 이용과 후생의 과제
5. 고증학의 수용과 국학(國學)의 관심·189
⑴ 고증학의 수용과 실증적 연구
(2) 국학(國學) 연구의 전개
6. 조선후기 실학의 성격과 의미·198

제4장 한국 근대 유교개혁론의 양상과 과제
1. 한국 근대 유교의 변혁을 위한 과제·205
2. 한국 근대 유교개혁론의 유형과 과제·208
(1) 유교개혁론의 시대배경
(2) 유교개혁론의 유형
(3) 유교개혁론의 성격
3. 애국계몽사상과 양명학 기반의 유교개혁론·221
(1) 애국계몽사상가의 유교개혁론
(2) 박은식의 양명학에 기반을 둔 유교개혁사상
4. 도학 배경의 유교개혁론·236
(1) 이승희의 공교회(孔敎會) 활동과 도학의 개방적 계승
(2) 송기식의 『유교유신론』과 유교개혁사상
5. 경학기반의 유교개혁사상·247
(1) 이병헌의 공교(孔敎)활동과 금문(今文)경학
(2) 박장현의 유교개혁사상과 우리 역사의 경전화
6. 한국 근대 유교개혁론이 지닌 의미·259

_참고문헌·263
_인명 찾아보기·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