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머리말 5

제1장 사람의 생각을 바꾸는 인문학 ― 철학함의 인문학적 사유 ―
1. 자연과학과 인문학은 어떻게 다른가 19
1) 가장 확실하다는 사실 19
2) 사실의 세계와 의미의 세계 21
3) 천지인은 무엇을 말하는가 25
2. 삶의 철학과 인문학에도 논리가 있는가 33
1) 삶과 앎, 그리고 있음: 가치와 인식, 그리고 존재 33
2) 인문학과 사유의 논리 42
3) 인문학의 대상과 방법론 47
3. 삶을 위한 문화와 문화비판은 왜 필요한가 56
1) 문화예술: 왜 문화인가 56
2) 문화비판과 인간의 의식 63
3) 새로운 시작과 근원성 문제 70
4. 인간과 인문학의 관계성 79

제2장 사람을 자연 이상으로 보는 철학 ― 탈중심성의 생물학적 사유 ―
1. 우리는 어떤 눈높이를 가지는가 83
1) 상식적 판단 83
2) 과학적 판단 84
3) 철학적 판단 86
2. 신화에서는 사람을 어떻게 보는가 88
1) 마오리족과 손가락 3개 88
2) 남미 잉카인들의 신화 90
3) 그리스-로마인들의 신화 91
4) 우리의 단군신화 93
3. 생물의학에서는 사람을 어떻게 보는가 94
1) 월경과 생물학적으로 보기 94
2) 정자들의 4차례 비극과 난자 96
3) 비극의 의미와 생명의 존엄성: 생존권, 인권, 인간존엄 103
4) 죽음의 존엄성: 인문학적 물음 106
4. 생물인간철학에서는 사람을 어떻게 보는가 109
1) 인간존재와 생물학적 인간 109
2) 새 원리로서의 인간정신: 부정성의 존재 111
3) 결핍존재로서의 인간: 불확정성의 존재 116
4) 인간의 생존방식과 탈중심성의 존재 119
5. 인간생물철학의 한계 128

제3장 디지털정보사회와 인간성 실현 ―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 ―
1. 왜 디지털정보사회에서도 인문학적 사유인가 133
1) 인간의 삶과 사유 133
2) 사유와 비판의식 136
3) 비판의식과 인문학적 사유 139
2. 디지털정보사회란 어떤 사회인가 140
1) 전통사회와 산업사회, 그리고 정보사회 140
2) 디지털정보사회와 진리의 척도 147
3) 디지털정보사회에서의 문화비판 155
3. 인문학으로서 철학적 가치세계는 어떠한가 160
1) 경영학과 인문학 160
2) 현실의 가치체계와 인문학 164
3) 성과 인간성 해방, 그리고 자기의식 168
4. 디지털정보사회에서도 대학은 대학이어야 한다 172
1) 대학과 ‘큰 배움’ 172
2) 인간교육과 디지털정보교육 176
3)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과 인간성 실현 181
5. 인문학과 우리의 미래 186

제4장 종합토론
토론 1 (토론자: 김용일) 191
백승균 교수님의 “사람과 생명, 그리고 사회”에 대한 논평 191
토론 2 (토론자: 김 진) 205
백승균 교수의 “인간 삶의 철학으로서 인문학”에 대한 논평 및 질의 205
청중의 질문과 답변 246

_참고문헌 271
_찾아보기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