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책머리에·4

제1장 인학(人學), 한국의 문화 전통 연구
1. “홀로와 더불어” 그리고 “더불어 숲”·17
2. 인학(人學, 사람學, Inhahk), 인학(仁學, 런쉐, Ren Xue), 그리고 인류학·28
3. 한국의 문화 전통 연구 ·41

제2장 한자 문화권의 대대문화문법과 동아시아 사람들의 세계관
1. 나의 학문의 출발 ·55
2. 동아시아 속 한국 역사와 대대문화문법·60
3. 형식적 분석(formal analysis)과 범주적 사고(categorical thinking) ·66
1) 동아사아의 대대문화문법과 그 내용·66
2) 『천자문』의 형식 분석·75
3) 『논어』 “삼락(三樂)” 해석의 비교·77
4) 『대학』과 『중용』: 대대문화문법의 범주적 사고의 형식·88
5) 유가적 형식과 정명(正名) ·91

제3장 한국인의 사회생활: 집단성, 급수성, 연극의례성
1. 들어가는 말·101
2. 한국적 인학의 정립을 위하여: 조선 전통문화(불교)에 있어서의
인간관·108
3. 현대사회 속의 전통문화: 급수성, 집단성, 연극의례성·119
* 정수복의『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당연의 세계 낯설게 보기』 비판적 검토·135
4. 동아시아인들의 문화문법(文化文法)과 사회적 생활의 형식적 분석·141
1) 신민족지학(New Ethnography), 민족과학(Ethnoscience)의 문제점·148
2) 동아시아인들의 문화문법과 사회적 생활의 형식적 분석 ·156
3) 중국의 보(報)·165
4) 일본의 아마에(甘エ)·167
5) 한국의 눈치·172
6) 소결론·177

제4장 한국 사회의 성찰적 민족지
1. “처음처럼”·185
2. 서울올림픽, 성화 봉송, 그 민족지적 관찰·191
1) 서울올림픽을 바라보는 눈·191
2) 새 세계문화 창조의 첫 발걸음: 서울올림픽·194
3) “서울은 지방으로, 지방은 서울로”: 성화 봉송 길 참여관찰 기록·202
4) 역사에 기록될 ‘태극(太極)’ 개막식·216
5) 우리는 벽을 넘어서 갈 것이다·219
3. 서울올림픽 개막식과 세계의 TV·223
1) ‘대대문화문법’으로서 한국전통문화·228
2) 문화적 부호(Code)와 문화적 연행(Performance)·233
3) 세계는 서울로, 서울은 세계로 ·235
4) 올림픽 성화의 주경기장 입장·237
5) 맺는말: 상이한 문화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도전·252
4. 권투경기장 폭력난동사건과 한국의 문화전통·261
5. 나오는 글·275

제5장 종합토론
토론1 강신표 교수의 인문강좌, 토론문·285
토론2 강신표 선생님의 강연을 듣고 몇 가지 질문을 던지다·293
토론3 전통 문화담론의 창출과 그에 대한 자전적 민족지에 대한 몇 가지 소견·305

부록 강연 참가 청중의 질문·322

_참고문헌·342
_찾아보기·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