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언어의 의미와 화용

1. 언어의 의미
2. 의미체계와 화용체계
3. 의미의 여러 측면
4. 추론의 의미
5. 언어의 중의성
5.1. 어휘의 중의성
5.2. 통사구조의 중의성
5.3. 작용역의 중의성
5.4. 상(相)의 중의성
5.5. 부정의 중의성
5.6. 초점의 중의성
5.7. 논항 구조의 중의성
5.8. 문자 그대로의 의미와 비유적 의미의 중의성
5.9. 특정성과 불특정성의 중의성
5.10. 시제의 중의성
5.11. 양상(樣相)의 중의성

2장 의미와 화용 이론 1: 형식 이론을 중심으로

1. 형식 의미론
1.1. 기본 가정
1.2. 명제 논리
1.3. 일차 술어 논리
1.4. 고차 술어 논리
1.5. 가능 세계 의미론
1.6. 정리
2. Heim의 한정 명사구와 부정 명사구 이론
2.1. 한정 및 부정 명사구와 대용어 현상
2.2. Lewis의 양화 부사 이론과 Heim의 부정 명사구 이론
2.3. 서류철 변동 의미론
3. Kamp의 담화 표상 이론
4. Groenendijk와 Stokhof의 역동 술어 논리

3장 의미와 화용 이론 2: 인지 이론을 중심으로

1. Lakoff의 범주화 이론
1.1. 범주화란 무엇인가?
1.2. 몇 가지 주요 개념
1.3. 언어에 나타나는 원형 효과
1.4. 이상 인지 모형
1.5. 환유 모형
1.6. 방사상 범주
1.7. 인지 모형
1.8. 고전적 견해
1.9. 정리
2. Lakoff와 Johnson의 은유 이론
2.1. 개념 은유
2.2. 근원 영역과 목표 영역
2.3. 은유의 종류
2.4. 은유의 원리
2.5. 강조와 숨김
2.6. 언어 연구와 은유
2.7. 정리
3. Leezenberg의 은유 이론
3.1. 주제 관점
3.2. 의미적 충돌
3.3. 임기응변적 개념과 설
4. Langacker의 인지 문법 이론
4.1. 정신적 경험
4.2. 자율적 처리
4.3. 초점 조정
4.4. 변형
5. Fauconnier의 정신 공간 이론
5.1. 정신 공간의 구성과 연결
5.2. 정신 공간과 현상
5.3. 개념적 통합과 혼합 공간
6. Pustejovsky의 생성 어휘론
6.1. 논항 구조
6.2. 사건 구조
6.3. 특질 구조
6.4. 유형 강제
6.5. 공-구성

4장 의미와 화용의 실제

1. 총칭 현상
1.1. 총칭 명사구와 총칭 문장
1.2. 총칭 해석과 존재 해석
1.3. 총칭 표현과 예외
2. 무표지 복수 현상
3. 은유 현상
4. 상황 및 언어 아이러니와 패러독스 현상
4.1. 상황 아이러니
4.2. 상황 아이러니와 패러독스
4.3. 언어 아이러니
5. 결과와 경험 완료 현상
5.1. 결과 상태 추론과 고정 함축에 근거한 분석
5.2. 명시 함축과 대화 함축에 근거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