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언어 유형론의 개념과 방법론
1.1. 언어 유형론의 개념-문제 제기를 겸하여
1.2. 언어 유형론의 두 가지 접근법‘들’
1.2.1. 보편성과 다양성?21
1.2.2. 보편 문법과 유형론?26
1.2.3. 부분 유형론과 전체 유형론?27


II. 한국어의 언어 유형론적 특성
2.1. 형태적 특성
2.1.1. 교착 혹은 첨가
2.1.2. 접사의 범위, 접미사와 접두사의 비율
2.1.3. 접사의 결합 순서
2.1.4. 굴절과 파생
2.1.5. 문법 범주의 형태론적 실현과 통사론적 실현
2.2. 통사적 특성
2.2.1. 지배 대 일치, 핵심어 대 의존어의 표지
2.2.2 격과 일치의 계층
2.2.3. S, A와 P
2.2.4. 어순
2.3.한국어 유형론 약사-굴절의 인정에 따른 조사와 어미의 처리를 중심으로
2.3.1. 굴절의 인정과 조사 및 어미의 처리
2.3.1.1. 조사와 어미 처리가 굴절의 인정과 일치하는 경우
2.3.1.2. 조사와 어미 처리가 굴절의 인정과 일관적이지 못한 경우
2.3.2. 조사와 어미 처리의 혼란상


III.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적 보편성
3.1. 형태론의 단위
3.1.1. 형태소
3.1.1.1. 분석 단위로서의 형태소
3.1.1.2. 형성 주체로서의 형태소
3.1.2. 단어
3.1.2.1. 단어 개념의 해체:음운론적 단어와 문법적 단어
3.1.2.2. 단어 형성과 어휘적 단어
3.2. 형태소의 교체
3.2.1. 형태소 교체의 조건
3.2.2. 형태소 교체의 요인
3.3. 형태론의 모형
3.3.1. 형태소-기반 모형과 연쇄 과정
3.3.2. 단어-기반 모형과 비연쇄 과정


IV.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적 특수성
4.1. 한국어 형태론의 범위와 특성
4.1.1. 굴절 및 교착과 한국어 형태론의 단어 개념
4.1.2. 한국어 형태론의 현저성
4.1.2.1. 통합성 지수 산출을 위한 기초 작업
4.1.2.2. 현대 한국어의 형태론적 현저성
4.1.2.3. 중세 한국어의 형태론적 현저성
4.1.2.4. 동사의 굴절 통합성
4.2. 한국어의 품사
4.2.1. 품사 분류의 기준
4.2.1.1. ‘의미’와 유형론적 보편성
4.2.1.2. ‘기능’과 ‘분포''
4.2.1.3. ‘형식’과 유형론적 특수성
4.2.2. ‘형식’과 품사 분류
4.2.2.1. ‘교착소’와 품사 분류
4.2.2.2. ‘형식’과 관련된 품사 분류의 실제
4.2.3. 품사의 특성과 경계 요소
4.2.3.1. 한국어 대명사와 수사의 유형론적 특수성
4.2.3.1.1. 대명사
4.2.3.1.2. 수사
4.2.3.2. 조사와 접어
4.3. 한국어 단어의 형성과 체계
4.3.1. 단어 형성과 단어-기반 모형
4.3.1.1. 단어 형성의 기제와 단어-기반 모형
4.3.1.2. 한국어 어휘부의 유형론적 특성
4.3.2. 단어 형성의 분류와 단어 형성 모형
4.3.2.1. 파생어, 합성어, 통사적 결합어와 단어 형성 모형


4.3.2.2. 영변화어와 내적 변화어의 단어 형성 모형
4.3.2.3. 형식적 감소와 단어 형성 모형
4.3.3. 단어 형성과 논항 구조
4.3.3.1. 의미론적 논항 대 통사론적 논항
4.3.3.2. 한국어 ‘N-V’형 합성 동사의 논항 구조
4.3.4. 단어 형성과 어순
4.3.4.1.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4.3.4.2. 핵의 위치에 따른 합성의 원리
4.3.4.2.2. ‘명사+명사’ 대등 구성과 어순
4.3.4.2.3. 논항 구조를 보이는 합성 용언과 어순
4.3.5. 단어 형성과 통시성
4.3.5.1. 접사화와 파생어
4.3.5.2. 사이시옷 구성과 합성어
4.3.5.3. 통사적 구성의 단어화
4.3.6. 단어 형성과 의미 관계
4.3.6.1. 파생어 형성에서의 빈칸과 한국어 동의파생어의 위상
4.3.6.2. 어휘장과 합성어 형성


V. 한국어 형태론의 전망과 과제
5.1. 요약을 통한 전망
5.2. 과제-또 다른 시작을 위한 문제 제기를 겸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