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언어와 한국어
제1장 언어의 정의와 특성
1. 언어의 정의 = 12
1.1. 언어의 구성요소
1.2. 언어의 종류
1.3. 언어의 기능
2. 언어의 특징 = 16
2.1. 언어의 기호성
2.2. 언어의 자의성
2.3. 언어의 사회성
2.4. 언어의 역사성
2.5. 언어의 창조성
2.6. 언어의 분절성
2.7. 언어의 생득과 학습
3. 언어학의 유형 = 22
3.1. 언어구조에 따른 분류
3.2. 연구방법에 따른 분류
3.3. 연구방법에 따른 분류

제2장 한국어의 본질과 특성
1. 언어와 한국어 = 26
2. 한국어의 특성 = 27
2.1. 음운상의 특징
2.2. 형태상의 특징
2.3. 문법상의 특징
2.4. 어휘상의 특징
3. 한국어의 연구방법 = 32
3.1. 공시적 연구방법
3.2. 통시적 연구방법

제3장 한국어와 한국어학
1. 한국어학의 정의 = 33
2. 한국어학의 영역 = 33
2.1. 한국어학의 본령
2.2. 한국어학의 응용


제Ⅱ부 한국어의 문법-(1)
제1장 한국어의 음성체계
1. 한국어의 음성학 = 36
1.1. 음성학의 종류
1.2. 음성기관과 조음위치
2. 한국어 음성의 체계 = 41
2.1. 한국어의 자음체계
2.2. 한국어의 모음체계(단모음)
2.3. 한글맞춤법의 자모음 규정
2.4. 한국어의 모음체계(이중모음)
3. 한국어의 운율적 요소 = 52
3.1. 음의 강약
3.2. 음의 고저
3.3. 음의 장단
3.4. 음의 연접

제2장 한국어의 음운체계
1. 음성학과 음운론 = 56
2. 한국어의 음운 = 56
2.1. 음성과 음운
2.2. 음운의 정의
2.3. 이음과 음절
3. 음운의 변별적 자질 = 60
3.1. 변별적 자질 정의
3.2. 변별적 자질의 종류
4. 한국어의 음운변화 = 64
4.1. 음절 끝소리 규칙
4.2. 동화 현상
4.3. 축약 및 탈락 현상
4.4. 사잇소리 현상

제3장 한국어의 표준발음법
1. 한국어와 발음의 중요성 = 77
2. 한국어 발음내용 = 77
2.1. 한국어의 억양구조
2.2. 언어권별 학습자의 발음 오류
3. 표준발음법 규정 = 84
3.1. 된소리되기
3.2. 사잇소리되기


제Ⅲ부 한국어의 문법-(2)
제1장 한국어의 단어구조
1. 한국어의 형태론 = 90
2. 형태론의 구성요소 = 92
2.1. 형태소의 정의
2.2. 형태소의 분석
2.3. 형태소의 종류
2.4. 형태소와 이형태
3. 형태소와 단어 및 구조 = 96
3.1. 단어분석의 방법
3.2. 단어의 구조
3.3. 한국어의 파생법
3.4. 한국어의 합성법
3.5. 한자어의 단어형성
4. 단어와 품사분류 = 106
4.1. 품사 분류의 기준
4.2. 한국어의 품사
5. 용언의 활용론 = 146
5.1. 활용의 정의
5.2. 활용의 종류
5.3. 어간과 어미

제2장 한국어의 문장구조
1. 한국어와 문법론 = 156
1.1. 문법론의 영역
1.2. 협의의 문법
2. 문장구조와 문장성분 = 159
2.1. 기본문형의 구조
2.2. 문장성분의 분석
2.3. 문장성분의 종류
3. 문장과 확장 = 176
3.1. 단문과 복문
3.2. 복문의 구조

제3장 한국어의 의미구조
1. 언어와 의미 = 222
1.1. 의미론의 정의
1.2. 의미론의 영역
2. 의미론의 연구대상 = 225
2.1. 의미의 의미
2.2. 의미의 종류
2.3. 한국어 어휘의 체계 및 양상
2.4. 어휘 의미 변화
3. 단어들의 의미 관계 = 244
3.1. 직접적인 의미 관계
3.2. 간접적인 의미 관계
4. 의미 분석과 의미장 = 250
4.1. 의미 성분분석
4.2. 의미장에 따른 의미 분석
5. 의미구조의 모호성 = 253
5.1. 중의적 표현
5.2. 간접적 표현
5.3. 관용적 표현
5.4. 잉여적 표현

제4장 한국어 이야기의 구조
1. 문장과 이야기 = 259
2. 문장 성분의 생략 = 260
3. 보조사 및 보조동사의 의미 = 262
3.1. 보조사의 의미
3.2. 보조동사의 의미
4. 지시어의 의미와 기능 = 267
4.1. 지시어의 의미
4.2. 지시어의 기능
5. 물음과 대답 = 269
5.1. 물음과 대답의 유형
5.2. 이야기와 물음의 선택


제Ⅳ부 한국어의 문법-(3)
제1장 한국어의 높임법
1. 높임법의 정의 = 274
2. 높임법의 종류 = 275
2.1. 주체높임법
2.2. 상대높임법
2.3. 어휘높임법

제2장 한국어의 사ㆍ피동법
1. 사동, 피동의 개념 = 282
1.1. 사동과 주동
1.2. 피동과 능동
2. 한국어 사동법 = 283
2.1. 사동 표현의 종류
2.2. 사동 표현의 차이
3. 한국어의 피동법 = 292
3.1. 피동 표현의 종류
3.2. 피동 표현의 부사격조사

제3장 한국어의 시간표현법
1. 한국어의 시제 = 297
2. 한국어의 시제 유형 = 298
2.1. 현재시제
2.2. 과거시제
2.3. 미래시제
2.4. 시제와 상

제4장 한국어의 문장종결법
1. 문장종결의 정의 = 310
2. 문장종결의 유형 = 311
2.1. 평서문
2.2. 의문문
2.3. 명령문
2.4. 청유문
2.5. 감탄문

제5장 한국어의 부정법
1. 부정문과 부정법 = 318
2. 부정법의 특징 = 318
2.1. ''안''과 ''못''의 의미
2.2. 부정법의 종류
2.3. 어휘부정법 및 부정부사
3. 부정문의 중의성 = 326


제Ⅴ부 한국어의 역사
제1장 한국어의 형성과 계통
1. 한국어의 유형적 분류 = 330
1.1. 형태적 분류
1.2. 계통적 분류
1.3. 알타이 제어와 한국어
2. 한국어의 분화 과정 = 335
2.1. Ramstedt의 분화설
2.2. Poppe의 분화설
2.3. 이기문의 분화설
3. 한국어의 형성 및 발전 = 339
3.1. 고대 한국어
3.2. 중세 한국어
3.3. 근대 한국어
3.4. 현대 한국어

제2장 한국어의 방언과 방언구획
1. 한국어와 방언론 = 347
1.1. 방언의 정의
1.2. 방언의 종류
1.3. 방언과 표준어
2. 방언의 연구방법론 = 350
2.1. 방언자료의 수집
2.2. 자료정리
2.3. 방언지도
3. 방언구획의 기준 = 355
3.1. 등어선
3.2. 방언학의 중요 용어
4. 한국어 방언 구획 = 358
4.1. 방언 구획의 특징
4.2. 한국어 방언의 실제
4.3. 개별 방언의 특징
5. 사회 방언 = 364
5.1. 사회 방언의 정의
5.2. 사회 방언 형성의 요인

제3장 한국어 문자의 생성과 변천
1. 한국어와 문자론 = 368
1.1. 문자의 본질과 가치
1.2. 문자의 기원
1.3. 문자의 발전
1.4. 한국어의 문자
2. 훈민정음 이전의 문자 = 372
2.1. 고유명사 표기
2.2. 서기체 표기
2.3. 이두 표기
2.4. 구결 표기
2.5. 향찰 표기
3. 훈민정음의 탄생과 변천 = 376
3.1. 창제 동기
3.2. 훈민정음의 기원
3.3.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3.4. 훈민정음의 표기방법
4. 훈민정음의 변천과정 = 383
4.1. 언문시대
4.2. 국문시대
4.3. 한글시대


제Ⅵ부 한국어의 어문규범
제1장 한글맞춤법 규정
1. 한국어 정책론의 정의 = 388
2. 한글맞춤법 제정 = 388
2.1. 역사적 과정
2.2. 한글맞춤법 내용
2.3. 띄어쓰기 규정

제2장 외래어 표기법 규정
1. 외래어 표기법의 정의 = 411
2.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 411
3. 국제음성기호와 표기의 실제 = 413
4. 외래어 표기의 세칙 = 417
4.1. 영어의 표기
4.2.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제3장 로마자 표기법 규정
1. 로마자 표기법의 정의 = 426
2. 로마자 표기법의 변천 = 426
2.1. 로마자 표기 개정안
2.2. 로마자 표기의 유의점


제Ⅶ부 한국어의 응용
제1장 한국어와 인접학문
1. 언어학과 인접학문 = 436
2. 사회언어학 = 437
2.1. 언어(학)과 사회(학)
2.2. 사회언어학의 종류
2.3. 사회언어학의 연구 방법
3. 심리언어학 = 442
3.1. 언어(학)과 심리(학)
3.2. 심리언어학의 영역
4. 대조언어학 = 446
4.1. 정의와 이론적 배경
4.2. 역사적 발전과정

제2장 한국어와 교육
1. 한국어의 세계화 = 450
2. 한국어 교육 기관(대학) = 453
2.1. 부속기관 중심의 교육
2.2. 대학원 중심의 교육
3. 한국어교육과 교사 = 455
3.1. 한국어교육학과 교사의 자질
3.2. 한국어교사 양성과정
3.3. 한국어교사와 한국어교육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