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라시아어와 한국어 기원의 서문
1.1 3권의 범어 시리즈 소개
1.2 이 책을 읽는 법
1.3 유라시아어 연구의 게기와 과정

2. 언어 형성 과정 추적과 문법 용어 이해
2.1 우리말의 형성 과정 추적
2.2 ''유성/무성''에 따른 언어의 성립
2.3 성조 언어
2.4 굴절어란?
2.5 어순에 관하여
2.6 북방계 문법언어의 발생과 인도유럽어

3. 유라시아 ''보편문법''과 우리말
3.1 언어는 본질은 분절이다
3.2 한국어는 ''어근 활용''언어이다
3.3 동사활용과 ''격변화''는 어근 활용일 뿐
3.4 ''동사 활용''은 ''어근 활용''
3.5 ''보조 동사''는 ''어근 활용''을 ''보조''한다
3.6 ''우리말의 어근 활용''에 관한 ''결론''들

4. 유성음과 무성음 고찰
4.1 모음 발음의 이해
4.3 유성자음과 무성 자음 분석
4.4 ''각자병서''란 무엇인가?
4.5 아래아에 관해
4.6 우리말은 어떻게 훼손이 되었는가?
4.7 음절간의 원리

5. 유라시아어 언어 원리 규명
5.1 ''능격언어''와 ''대격언어''
5.2 후두음 이론
5.3 인도유럽어의 ''모음교체''
5.4 ''격변화''란 무엇인가?
5.5 ''한국어''와 ''범어'' 격변화 비교

6. 유라시아어와 한국어의 결론
6.1 언어의 진화 과정과 인위적인 문법들의 폐해
6.2 범어와 우리말로 언어의 원형에 대한 탐구
6.3 유라시아어 기원에 관한 본문 요약
6.4 우리 언어의 훼손에 대하여
6.5 언어와 인식

7. Appendix(부록)
7.1 부록 I 훈민정음 언해
7.2 부록 II 훈민정음 해례
7.3 부록 III 신숙주 ""동국정운 서문"
7.4 부록 IV 신숙주의 "홍무정운 역훈 서문"
7.5 부록 V "명태조 주원장의 홍무정운" 송렴
7.6 부록 VI "훈민정음 해례" 정인지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