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I. 변화를 거듭한 근대 한양도성

II. 낯선 이들의 방문
1. 한국을 기록한 외국인
2. 그들의 눈에 비친 한양도성
윌리엄 엘리어트 그리피스, <은자의 나라 한국>
퍼시벌 로렌스 로웰, <조선, 조용한 아침의 나라>
아놀드 헨리 새비지 랜도어,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이사벨라 버드 비숍,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엘리어스 버튼 홈즈, <버튼 홈즈 여행기>
노르베르트 베버, <고요한 아침의 나라>
엘리자베스 키스, <옛 조선: 고요한 아침의 나라>

3. 가장 오래된 도성 사진

III. 관광명소가 된 한양도성
1. 관광 상품이 된 도성
여행안내서. 관광엽서 속 도성
도성 안을 돌아다니던 최초의 관광버스
신문기사로 본 순성
교토제일고등여학교 수학여행

2. 도성의 정문, 경성의 상징
도로 위 외로운 섬이 된 숭례문
사진으로 보는 숭례문의 변화

IV. 대중문화로 만나는 한양도성
1. 문학작품 속 도성
현진건, <운수 좋은 날>
이태준, <무서록> 중 <성>
박완서, <엄마의 말뚝>

2. 유성기 음반 속 도성의 흔적
3. 한국영화의 배경이 된 도성
미몽, 자유만세, 서울의 휴일, 지옥화, 동심초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