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6

준비 단계_일반 언어로서의 국어

Ⅰ.언어의 특성
· 자의성과 추상성
· 사회성과 역사성
· 분절성
· 개방성

Ⅱ.언어의 기능
· 표현적 기능과 친교적 기능
· 명령적 기능과 정보 전달 기능

1단계_음운론

Ⅰ.음운론
1. 자음과 모음의 구분
2. 자음
3. 모음
4. 운소 : 짧은소리와 긴소리

Ⅱ.음운 현상
1. 음절의 끝소리 현상
2. 두음 법칙
3. 동화
: 써먹는 문법 - 유음화에도 예외는 있어!
: 써먹는 문법 - 모음 조화가 사라져 간다!
: 써먹는 문법 - 구개음화에도 예외는 있어!
4. 축약
5. 탈락
6. 첨가
: 써먹는 문법 - 자음 첨가에도 예외는 있어!
7. 이화 - 강화 - 경음화
: 써먹는 문법 - 이유 없는 된소리는 싫어!

2단계_형태론

Ⅰ.단어
: 써먹는 문법 - 띄어쓰기의 원리를 알아보자!

Ⅱ.형태소

Ⅲ.품사
1.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 써먹는 문법 - 띄어쓰기, 의존 명사 때문에 헷갈려!
2. 용언 : 동사, 형용사
: 써먹는 문법 - 알맞는(?) 답을 골라라!
3. 수식언 : 관형사, 부사
4. 관계언 : 조사
5. 독립언 : 감탄사

Ⅳ.단어의 구조
1. 단일어
2. 복합어
· 파생어
: 써먹는 문법 - 파생어와 맞춤법의 관계를 알아보자!
: 써먹는 문법 - ‘햇님(?)’과 ‘달님’
· 합성어
: 써먹는 문법 - 합성어와 맞춤법의 관계를 알아보자!
: 써먹는 문법 - 몇 월 몇일(?)
·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 써먹는 문법 - 통사적 합성어와 띄어쓰기의 관계를 알아보자!

3단계_통사론

Ⅰ.문장의 구성
1. 문장
2. 문장 성분과 품사
3. 서술어의 자릿수
4. 어미의 종류

Ⅱ.문법 범주
1. 시제와 상, 서법
2. 부정
: 써먹는 문법 - '못쓰다'와 '못 쓰다'
3. 사동과 피동
4. 높임법의 의미와 종류

Ⅲ.문장의 확대
1. 문장의 종류
: 써먹는 문법 - ‘편지를 찢어 버렸다.’에 숨은 두 가지 의미
2. 문장을 이루는 구성 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