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나는 왜 자연주의를 연구하였는가? 5


서론
1. 한국 자연주의 연구의 문제점
1) 원천의 이중성 19
2) 연구의 대상과 범위 27

Ⅰ장 염상섭과 자연주의
1. 용어에 대한 고찰-명칭의 단일성과 개념의 복합성
1) ‘개성과 예술’에 나타난 자연주의 38
2) ‘토구비판 3제’에 나타난 자연주의 53
(1) 사실주의와의 만남 54
(2) 결정론의 출현 61
(3) 예술론에 나타난 재현론 68
3) ‘나와 자연주의’의 경우 74
(1) 자연주의의 출현시기에 대한 염상섭의 견해 74
(2) 자생적 자연주의론 78
(3) 자연주의와 사실주의에 대한 염상섭의 관점 82
2. 용어의 원천탐색
1) 염상섭과 일본문학 99
(1) 반자연주의계의 문인과의 영향관계 100
(2) 자연주의계 문인과의 영향관계 106
2) 염상섭과 서구문학 115
(1) 프랑스 문인과의 영향관계 115
(2) 러시아 문인과의 관계 118
3) 전통문학과의 관계 127
(1) 전통문학에 대한 부정적 시각 127
(2) 문화적 열등감의 원천 136

Ⅱ장 현실재현의 방법
1. 예술관의 이중성과 주객합일주의 165
2. 미메시스의 대상의 이중성 181
3. 미메시스의 방법 - 언문일치운동과 배허구 192
4. 가치의 중립성과 묘사과다 현상 209

Ⅲ장 문체혼합의 양상
1. 인물의 계층과 유형
1) 인물의 계층 225
(1) 자전적 소설의 경우 225
(2) 비자전적 소설의 경우 229
2) 인물의 유형 234
(1) 자전적 소설의 경우 235
(2) 비자전적 소설의 경우 239
2. 배경 - ‘여기-지금’의 시공간
1) 공간적 배경의 협소화 경향 255
(1) 노상의 크로노토포스 255
(2) 옥외와 옥내가 공존하는 크로노토포스 261
(3) 옥내의 크로노토포스 269
2) 배경의 도시성 273
3. 돈의 구체성과 성의 추상성
1) 자전적 소설 282
2) 비자전적 소설 288
4. 무해결의 종결법
1) 불일 자연주의의 경우 309
2)염상섭의 소설에 나타난 진지성眞摯性의 요인 311
(1) 죽음과 관련이 있는 작품들 312
(2) 기타의 불행을 다룬 작품들 322
3) 종결법의 양상 324
5. 장르상의 특징
1) 불일 자연주의의 차이 332
2) 염상섭-무해결의 종결법 335

Ⅳ장 물질주의와 결정론
1. 염상섭의 세계에 나타난 물질주의 350
2. 염상섭과 결정론
1) 평론에 나타난 결정론 363
2) 소설에 나타난 결정론 370
(1) ‘제야’에 나타난 결정론 371
(2) ‘표본실의 청개고리’와 결정론 378
(3) ‘삼대’에 나타난 결정론 386

결론
1. 염상섭과 자연주의 401
2. 자연주의의 한국적 양상 434

부록
1. 염상섭 연보 - 불·일·한 자연주의 작가 연대 대조표 443
2. 작품 연보 456
3. 참고문헌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