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국어 정보학과 정보
1. 국어 정보학의 개념
2. 언어학과 정보 과학
2. 정보와 자료와 지식
4. 국어 정보학의 배경

제2장 국어 정보학
1. 국어 정보화의 의미
2. 국어 정보화의 단계
3. 국어 정보화의 기술나무
4. 국어 정보화의 현황
5. 국어 정보화와 인문학
6. 국어 정보화와 국어학

제3장 말뭉치 언어학
1. 말뭉치 언어학
2. 말뭉치
3. 말뭉치의 구축
4. 말뭉치의 구축 방법과 구축시의 유의 사항
5. 말뭉치 구축 현황
6. 말뭉치의 이용 현황

제4장 한글 코드
1. 코드의 개념
2. 비트와 바이트
3. 한글 코드
4. 한글 코드의 여러 유형
5. 한글 코드 표준화의 간략한 역사
6. 유니코드와 한국어 정보 처리 환경

제5장 컴퓨터를 이용한 국어 자료 처리
1. 문서 작성
2. 윈도에서 한자 및 옛한글의 폰트
3. 자료 처리

제6장 북한의 국어 정보화 실상
1. 운용 체제
2. 문서 편집기
3. 조선어 정보화 이론 연구
4. 말뭉치 구축 현황
5. 말뭉치의 표준 형식
6. 프로그램
7. 한글 코드
8. 한글 폰트
9. 기계 번역기
10. 기타
11. 우리의 과제

제7장 전자사전
1. 전자사전의 특징과 장점
2. 전자사전의 분류
3. 세종 전자사전

제8장 말뭉치를 토대로 하는 사전 편찬
1. 사전 편찬의 과정
2. 사전 편찬과 기존 사전의 활용
3. 말뭉치의 이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