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론

제1장 정음관 형성의 배경

1. 한자 문화권의 사유의 특징
1) 천인합일 사상
2) 어음의 교화 사상
3) 순환론적 시간 관념
4) 문언과 문언음의 전통

2. 한자 문화권의 어음 인식의 발전 추이
1) 직음(直音) 시기
2) 반절(反切) 시기
3) 운서(韻書) 시기
4) 운도(韻圖) 시기


제2장 소옹과 『황극경세서』의 「성음창화도」

1. 시대적 특징과 학술적 배경

2. 제작 동기 및 정음관의 구현

3. 『황극경세서』「성음창화도」의 정음 체계
1) 상수역학 체제
2) 음운 체계의 재구


제3장 정음관의 계승과 발전

1. 운서에 나타난 정음관
1) 수조(隋朝)의 운서
2) 당조(唐朝)의 운서
3) 송조(宋朝)의 운서
4) 금조(金朝)의 운서
5) 원조(元朝)의 운서
6) 명조(明朝)의 운서
7) 청조(淸朝)의 운서

2. 운도에 나타난 정음관
1) 공간적 개념에 기초한 정음관
2) 시간적 개념에 기초한 정음관


제4장 조선 시기 정음관의 수용과 창조적 변용

1. 조선 전기
1) 『훈민정음』
2) 『동국정운』
3) 『홍무정운역훈』

2. 조선 후기
1) 서경덕
2) 최석정
3) 황윤석


결론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