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 한국어가 걸어온 길

국어.한국어.조선어 / 한국어, 외계에서 온 언어
세 나라의 언어는 같았을까? / 고구려어.한국어.일본어
이두: 한국어 서기 체계의 시작 / 향찰: 이두의 최고 형태
한글 ''험담'' 두 마디


2. 한국어의 단어와 문장

한국어, 세 겹의 언어 / 봄바람과 춘풍: 한국어 어휘의 이중 계보
고유어와 한자어의 일 대 다 대응 / 역전 앞과 한옥집: 잉여적 표현에 대하여
''자장면 문장''에 대하여 / ''오른''과 ''왼'', 옳고 그름
엄마와 남자의 공통점 / 하나.둘.셋.넷 / 하루.이틀.사흘.나흘
하느님과 하나님, 기독교와 개신교 / 김치에 대하여 / 여러 가지 ''손''
이.그.저: 가리킴말에 대하여 / 대용어와 게으름의 대명사
''-들'', 수의 곡예사 / 자기.자신.자기 자신 / ''것'', 세상의 모든 것
형태소와 변이 형태 / 소래 달아났이오: 주격 조사의 지리적 변이
우리말의 시제 / 부정문에 대하여 / 형용사는 adjective가 아니다
기쁘다와 기뻐하다: 심리 형용사에 대하여
''~와, ~과''에 대하여: 비교 형용사와 대칭성 동사 / 버릇.성격.모양.직업
지우개와 봄낳이 / 춤추기.잠자기.꿈꾸기 / 품사의 넘나듦: 영변화에 대하여
한 음소 형태소들 / 피동과 능동 / 사동과 주동


3. 한국어의 소리

가카까.다타따.바파빠 / 한국 한자음의 특성


4. 언어의 사회학

으르렁말과 가르랑말 / ''좌익''과 ''좌파'': 연상공학의 한 양상
욕설의 세계: 설사의 심리학 / 유행어, 시대의 거울
궁중어, 구중(九重)의 방언 / 속담: 민중의 위대함과 비천함
금기담에 대하여 / 은어: 울타리의 심리학 / 개화경과 양풍
평양감사와 함흥차사 / 한국 사람의 이름 / 서울의 동 이름
접촉과 간섭에 대하여 / 방언에 대하여


5. 북한말의 풍경

문화어: 평양 중심주의의 대두 / 문화어의 얼굴 / 북한의 국어 사전 찾아보기
북한에서의 단어 만들기 / 우상의 언어 / 언어와 이데올로기


더 읽을 거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