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선행 연구
1.2.1 한국어학 연구 분야

1.2.2 한중 대조연구 분야
1.2.3 한국어 교육 분야
1.3 문제 제기

2. ‘를’구문의 유형
2.1 기존의 ‘를’구문의 분류
2.1.1 목적어의 특징에 따른 분류
2.1.2 구문의 통사구조에 따른 분류
2.1.3 목적격 ‘를’의 의미에 따른 분류
2.1.4 구문의 동사특징에 따른 분류
2.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를’구문 분류
2.3 요약

3. ‘를’구문 기술의 이론적 배경과 대조분석
3.1 ‘를’구문 기술의 이론적 배경
3.2 한국어 ‘를’구문과 L1 중국어 구문 대조
3.2.1 ‘를’구문과 대응되는 L1 구문의 구조 대조
3.2.2 ‘를’구문과 대응되는 L1 구문의 성분 대조
3.2.3 ‘를’구문과 대응되는 L1 구문의 어순 대조
3.3. 요약

4. ‘를’구문 오류분석
4.1 실험대상과 실험자료 및 가설
4.2 ‘를’구문의 오류
4.2.1 ‘를’구문1의 오류
4.2.2 ‘를’구문2의 오류
4.2.3 把구문 번역의 오류
4.3 실험결과 분석
4.4 요약

5. ‘를’구문학습 순서배열
5.1 목표어 학습 순서배열의 기준
5.1.1 정확률기준과 유사목표어(TLU)기준
5.1.2 난이도위계에 의한 기준
5.2 기존 교재의 ‘를’구문 순서배열
5.2.1 한국인이 만든 교재의 순서배열과 문제점
5.2.2 중국인이 만든 교재의 순서배열과 문제점
5.3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를’구문 순서배열
5.3.1 대조분석가설을 적용한 순서배열
5.3.2 내부 순서배열과 누적식 순서배열
5.4 요약

6. ‘를’구문 교육 내용 기술과 교수방법
6.1 ‘를’구문 교육 내용 기술
6.1.1 ‘를’의 의미 기술
6.1.2 ‘를’구문의 통사 및 기능 기술
6.2 ‘를’구문 교수방법
6.2.1 초급 단계에서의 ‘를’구문 교수방법
6.2.2 중급 단계에서의 ‘를’구문 교수방법
6.3 요약

7. 결 론
7.1 논문 내용 요약
7.2 논문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문장오류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