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훈민정음의 길

머리말·11

1 꽃잎 속의 훈민정음 혜각존자의 집안과 출가
- 훈민정음 창제의 주역, 혜각존자 신미 예문관 대제학 이행의 외손자
김수성
- 아버지의 돌이킬 수 없는 불충과 불효
- 회암사에서 함허당을 은사로 출가
- 신미, 함허당의 정법을 잇다
- 함허당, 대 자암에서 왕실 불사 주관
- 세종, 선교 양종으로 사찰 혁파
- 신미, 속리산에서 정진하다
- 신미, 대장경에서 길을 찾다
- 미래로 준 세종의 선물, 훈민정음 훈민정음 창제를 위한 세종의 고뇌
- 세종, 효령대군의 추천으로 신미를 만나다
- 조선의 긴 어둠 털어낸 훈민정음
- 신미의 법통에 대한 가설


2 꽃피는 훈민정음 세종과 훈민정음
- 훈민정음 창제 신숙주, 훈민정음 창제 때 일본에 있었다
- 1443년 12월 30일, 훈민정음 창제 발표
- 정음청, 훈민정음 관련 부서
- 최만리 등 훈민정음 반대 상소
- 세종, “너희들이 운서·사성·칠음을 아느냐”
- 훈민정음 보강을 위한 1차 초수 행행
- 복사꽃 날리는 초수행궁과 훈민정음
- 세종의 안질과 훈민정음 - 제2차 초수 행 행
- 소헌왕후의 어머니, 한 많은 생을 접다
- 광평·평원대군, 이른 꽃잎 떨구 다
- 신숙주·성삼문·손수산, 운서 자문 위한 요동행
- ‘사가史家의 대전’,『치 평요람』완간
- 1차 완성된 『용비어천가』
- 집현전의 수장, 최만리 별세
- 김수온,『의방유취』 간행 참여
- 소헌왕후의 국상과 불사 소헌왕후, 세종과의 이별
- 수양·안평대군, 소헌왕후를 위한 금니 사경
- 세종, 불교를 믿는 무지한 임금
- 양주 회암사와 효령대군 미륵신
- 시학의 달인, 천 봉 만우
- 소헌왕후를 위한 사경 불사
- 성균관에 모셔도 부족하지 않은 신미
- 빗속으로 떠난 소헌왕후 98 세계 유일의 문자해설서,
『훈민정음訓民正音』 세종어제御製 훈민정음 서문
- 정인지 서문
- 소헌왕후를 위한 대자암 불사 대자암을 불태우란 말이냐
- 내가 이미 불교를 좋아하는 임금이다
- 정창손, “집안이 도륙되는 한이 있어도…”
- 대자암에서 7일 동안 베푼 전경회
-『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용비어천가』 편찬 세종의 명으로
『석보상절』편찬 시작
- 최항 등,『용비어천가』 주해 완료
- 수양대군, 꿈에 어머니를 뵙다
- 안평대군의 「몽유도원도」
- 『용비어천가』와 종묘제례악
- 『석보상절』의 편찬과 용문사 불사
- 『동국정운』 편찬, 조선의 표준 한자음 설정
- 『용비어천가』와 『석보상절』 완간
- 일천 강을 비추는 달, 『월인천강지곡』
- 조선의 『불소행찬』, 『월인천강지곡』 완간
- 세종, 선시禪詩를 통한 국정 구상
- 세종, 훈민정음으로 경서 번역 지시
- 세종, 왕세손 책봉
- 수양대군, 용문사에서 경찬 법회
-『동국정운』 편찬 배포

3 아픔 속의 훈민정음 세종과 경복궁 내불당
- 내불당, 파격의 불사 세종의 마지막 불사, 경복궁 내불당
- 세종, 나를 겁주려는 것이냐
- 영의정 황희, “결단을 내리소서”
- 내가 경복궁을 떠나겠다
- “요망한 신미의 목을 베소서”
- 세종, 반대 물리치고 내불당 공역 시작
- 세종, 임영대군의 집으로 이어
- 황희, 중재에 나서다
- 성균관을 비우고 떠난 유생들
- 세종, 경복궁으로 돌아와 『동국정운』 간행
- 경복궁 내불당 창건 마무리
- 세종, 9악장의「찬불가」 찬술
- 세종, 내불당 낙성식과 법연을 베풀다
- 김수온 의 내불당 조성 의궤儀軌,『사리영응기』
- 내불당 반대 상소·상언 일람
- ‘해동요순’ 세종, 조선을 품에 안고 가다 사간원, 김수온을 물어뜯다
- 절집의 일은 신미와 상의하라
- 대군의 집으로 떠도는 세종
- 세종, “복천사를 나의 원찰로 삼으라”
- 세종, 신미를 침전으로 맞아들이다
- 명나라 사신의 생떼
- 함허당의 『현정론』과 안견의 「몽유 도원도」
- ‘해동요순’ 세종, 조선을 뜨다

4 밀려나는 훈민정음 문종과 혜각존자
- 세종의 국상과 대자암·복천사 중창 불사 문종, 왕위에 오르다
- 정창손, 대자암 중창 불사 반대
- 문종, 글로써 불교 에 대한 입장을 밝히다
- 수양대군, 칼을 갈다
- 세종의 묘호와 담양군의 죽음
- 세종의 유훈과 신미의 법호
- 대자암 중창 낙성식, 수양대군의 부상
- 세종, 영릉에 들다
- 혜각존자 법호, 반대로 들끓는 조정 세종의 유훈으로 신미에게 내린 법호,
혜각존자
- 하위지, 법호 반대의 선봉에 서다
- 박팽년, 혜각존자의 옛일을 들추다
- 신미, 나라에 무슨 도움이 됩니 까
- 문종, 박팽년을 파직하다
- 사간원, “신미는 한 개의 깎은 대가리”
- ‘혜각존자慧覺尊者’를 ‘혜각종사惠覺宗師’로 바꾸다
- 신숙주, 신미를 ‘간승’으로 몰고 가다
- 혜각존자 법호 반대 상소·상언 일람
- 대자암 불사 정지, 정음청 혁파
- 문종, 복천사 중창 강행
- 훈민정음의 산실 정음청 혁파 압박
- 세종을 위한 복천사, 대자암 불사 지원

5 흔들리는 훈민정음 단종과 수양대군의 대립
- 문종의 국상과 어린 왕 단종 문종, 쓸쓸한 궁궐에서 아프게 떠나다
- 12세의 어린 왕, 단종
- 수양·안평대군, 골육상쟁의 서막 안평대군, 온 세상에 충직한 신하가 없다 - 문종, 현릉에 들다
- 정음청 혁파와 명나라로 떠난 수양대군
- 사욕을 채우기 위한 대토목 공사
- 사간원, 김 수온·김수화를 엮다
- 금강산 유점사
- 칸 전소
- 내불당 혁파 논쟁
- 계유정난, 경쟁 아닌 골육상쟁 살아서 죽을 것인가, 죽어서 살 것인가
- 수양대군, 영의정에 오르다
- 몽유도원도 속으로 사라진 안평대군
- 이징옥, 반란을 일으키다
- 수양대군, 정난공신 포상
- 단종, 내불당 혁파 문제로 시달리다
- 『직해동자습直解童子習』·『홍무정운역훈』 편찬
- 세조, 왕위 찬탈
- 사육신, 그 피의 회오리 세조, 『역경』을 정밀하게 보라
- 삼봉 정도전의 『불씨잡변佛氏雜辨』
- 꽃잎처럼 스러져간 훈민정음의 협찬 학자들
- 난신의 처자식들, 노비로 흩어지다
- 단종·의경세자의 죽음과 불사 세조, 신미에게 대장경 인출을 맡기다
- 노산군, 붉어서 아픈 지는 꽃
- 세자(덕종), 도원으로 떠나다
- 김수온, 명나라로 떠나다
- 17세의 단종, 영월에서 사사되다
- 의경세자를 위한 불사
- 『월인석보』 편찬 시작
- 정 인지, 『월인석보』 편찬 반대
- 마무리된 대장경 인경 불사
- 정인지, 거듭 『월인석보』를 물고 늘어지다

6 길 위의 훈민정음 세조와 혜각존자
- 미완의 완전한 문헌, 『월인석보』 완간 신미,『월인석보』 편찬 매진
- 미완이며 완전한 불전, 『월인석보』의 서문
- 정인지, 부여로 외방종편
- 세조, 『치평요람』· 『의방유취』 교정 지시
- 효령대군, 경기도 지평 용문사에 종 시주
- 겸예문직兼藝文職, 문풍 진작과 인재 양성
-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간행
- 혜각존자 신미·김수온의 모친상
- 간경도감과 훈민정음 불전佛典 언해 신미, 훈민정음 불전 간행 구상
- 세조, 혜각존자와 함께 『능엄경』언해 서원
- 불경언해의 국책 기관 간경도감 설치
- 역경사에 우뚝 솟은 보탑, 활자본 『능엄경언해』
- 흥천사종은 ‘능엄楞嚴의 종’
- 모든 언해의 규범, 목판본 『능엄경언해』
- 불사를 통한 국정운영
- 『명황계감』과 『묘법연화경』 언해
- 최항,『명황계감』 언해 마무리
-『선종영가집언해』 간행
- 의학 관계 언해서의 효시,『식료찬요』
- 세조, 복천사로 혜각존자를 만나러 가다 세조, 보은 속리산 복천사로
내려가다
- 혜각존자, 복천사에서 세조를 맞다
- 세조, 온양 온정에 가다
- 김수온, 출가를 원하는 상소
- 세조, 한 달 만에 경복궁으로 돌아오다
- 『금강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아미타경언해』 간행
『금강경언해』 간행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간행
-『불설아미타경언 해』 간행
- 김시습이 남긴 『월인석보』의 편찬 내력

7 탑 속의 훈민정음 원각사 신창과 오대산 상원사 중창
- 혜각존자, 오대산 상원사 중창 자성왕비 윤씨, 오대산 상원사 중창 발원
- 세조, 원각사 창건
- 원각사 창건 공역 시작
- 세조, 혜각존자에게 편지를 쓰다
- 조선의 명필 강희안, 붓을 놓다
- 세조와 혜각존자의 「오대산 상원사 중창 권선문」
- 최항, 「원각사종명」을 찬하다
-『원각경언해』 간행, 원각사 완공 한국불교 소의경전, 『원각경언해』
간행
- 원각사 완공과 낙성 경찬회
- 세조, 『주역』과 경서 구결에 집중
- 묘각왕사 수미의 입적과 『벽암록』간행
- 세조, 성균관에서 『주역구결』 반포
- 세조, 오대산 상원사 순행
- 강희맹, 「금강산서기송」을 올리다
- 『능엄경』을 읽지 않은 어세공·유진 파직
- 세조, 오대산 상원사 낙성 개당식 거행
- 세조, 강원도를 순행하고 환궁
- 일본 국왕에게 보낸 세조의 편지
- 김수온, 발영시·등준시에서 장원
- 원각사 백 옥불상 조성
- 의약서를 통한 훈민정음 보급, 『구급방언해』
- 신의 솜씨로 빚은 만다라, 원각사 10층 석탑 조선시대 최고의 석탑,
원각사 10층 석탑
- 조선 불교건축과 조각 예술의 정수
- 『목우자수심결언해』 · 『사법어언해』 간행 선의 이론서,
『목우자수심결언해』 간행
- 『사법어언해』 간행
- 낙산사·유점사의 중창과 신창 조선 전기의 가장 큰 국란, ‘이시애의 난’
- 혜각존자에게 강릉부 산산 제방 하 사
- 세조, 낙산사·유점사 중창과 수리
- 세조의 마지막 불꽃, 경서 구결 세조, 『주역구결』의 보완과 경서 구결
- 최항의 「경서소학구결」 발문
- 세조, 파란만장한 생을 접다
- 세조, 자나깨나 훈민정음 걱정

8 미궁 속의 훈민정음 예종과 혜각존자
- 숭불주 세조, 광릉에 들다 혜각존자, 세조의 국상 불사 총괄
- 정권의 주도권 싸움이 빚은 ‘남이의 옥사獄事’
- 숭불주 세조, 광릉에 들다
- 영릉, 여주로 천장
- 낙산사 중창, 광릉의 원찰 봉선사 창건 학열, 불교 탄압의 중심에 놓이다
- 학열, 안동 관아에서 상원사 동종을 옮겨오다
- 낙산사종 주성
- 예종, 혜각존자와 학열을 푸대접하다
- 조선시대 의 대표 범종, 봉선사종 주성
- 봉선사 완공과 김수온의 「봉선사기奉先寺記」
- 한층 강화된 ‘도승度僧의 법’
- 예종, 짧게 왕위에 있다 떠나다
- 정희 대비의 수렴청정을 도운 전언典言 조씨

9 길 밖의 훈민정음 성종과 혜각존자
- 성종 대의 왕실 불교 경복궁 밖으로 뜯겨 나간 내불당
- 영응대군 부인, 현등사 석탑 불사
- 혜각 존자의 막내 동생 김수화
- 간경도감 혁파의 선봉, 대사간 김수녕
- 대왕대비·인수왕비의 맞불, 정인사 중창
- 신빈 김씨와 밀성군의 원찰 묘적사 중창
- 광평대군 부인, 밭과 노비 절에 보시
- 덕종과 예종의 원찰 정인사 완공
- 조정 신료, 신미·학열을 압박하다
- 성종, 간경도감을 없애다
- 영릉의 원찰, 보은사(신륵사) 중창
- 여주 신륵사 중창 반대
- 혜각존자 신미의 회향과 적멸 혜각존자의 동생 김수경, 청주목사 부임
- 정희대비, 양주 회암사 중창
- 혜각존자·학열에게 역마驛馬를 주다
- 사간원, 혜각존자를 물고 늘어지다
- 훈민정음 협찬 학자, 최항 별세
- 혜각존자, 평해군 백암산에 머물다
- 글로써 충성한 신숙주, 세조 곁으로 가다
- 성종의 어머니 소혜왕후,『내훈內訓』편찬
- 대왕대비, 수렴청정을 거두다
- 홍문관과 사가독서제 부활
- 보은사 주지 강탈한 학미
- 김수온, 조정에 둘 수 없다
- 인수대비, 봉선사에서 금자 사경 강행
- 김수온, 살아온 날들의 비망록을 올리다
- 성종, 탄일 축수재를 없애다
- 혜각존자의 제방을 물고 늘어지다
- 숭불의 김수온, 성균관 행사에 들지 못하다
- 낙산사 옛길과 앞바다의 금표 문제
- 집현전의 수장, 정인지 별세
- 신미와 학열 등을 파렴치한으로 몰고 가다
- 혜각존자 신미, 적멸에 들다
- 김수온, 대문장가의 생애를 접다
- 성종, 세종이 기획한 『두시언해』 완간
- 학조, 원각사에서 패악질을 당하다
- 학조, 『금강경삼가해』 · 『남명집언해』 간행
- 간경도감에서 활약한 한계희 별세
- 성종, 봉선사 세 조 어진 참배
- 세조의 측근 강희맹 별세
- 정희왕후 윤씨, 온양행궁에서 별 세
- 학열, ‘요승’으로 몰려 입적
- 조선 초기 3대 명필 성임 별세
- 학조, 『불정심경 언해』 간행
- 인수대비, 『오대진언 언해』 · 『영험약초 언해』 간행
- ‘조선왕실의 미륵’ 효령대군, 91세로 별세
- 지경, 복천사·유점사의 불상 도둑질
- 정희왕후의 유훈, 해인사 대장경 판당 등 중수
- 전 정인사 주지 설준, 살해당하다
- 성종, 도승의 법을 엄격히 하다
- 성종, 조선왕조의 체계 잡고 승하
- 학조,『육조법보단경 언해』등 간행
- 학조, 해인사에서 대장경 인출
- 학조, 직지사에서 입멸
- 안동 광흥사의 『훈민정음해례본』

마무리
- 혜각존자 신미와의 대화
- 혜각존자 신미대사 행장
- 참고문헌
- 주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