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법 교육과 오류분석
''은/는''과 ''이/가''의 사용 차이에 대한 대조 설명
또마쉬 호락
한국어 진행형 "-고 있다"의 습득 과정
루시언 브라운 & 연재훈
명사구 접근가능성 계층(NPAH)의 유표성 정도와 쓰기 자료에 나타난 관계절 유형 연구
김성수

프랑스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연결어미 ''(으)ㄴ데/는데'' 사용과 오류 분석
김진옥
독일어권 학습자의 제한적 어미 활용에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
송문의
한국어 학습에 나타나는 프랑스 학습자의 오류 고찰
김혜경
2. 어휘ㆍ발음 교육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튀르쾨쥬, 괵셀
한자어를 통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예비적 고찰
김훈태
독일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법론 연구
강신형
발음 교육의 한계와 그 원인 분석
김정영
3. 화용론과 문화 교육
화용론과 한국어 교육
루시언 브라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에서 문법 교육의 역할에 대하여
-문화적 문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윤선영
한국 문화 교육의 중요성과 문화적 소통: 프랑스 한국어 교육의 예
조혜영
유럽내 한국어 문화교육 교수법으로서의 교육연극의 활용
박진아
간문화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랑스 대학의 문학 번역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유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터키 대학생들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연구
-효과적인 문화 교육을 위한 제안-
알툰다으, 프나르
4. 수업의 실제
대학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안수정
초급자 과정을 위한 ''자기소개'' 프로젝트
백정승
행위중심접근법과 프랑스 국립동양학대학 실용 한국어 수업: 스케치 프로젝트
윤소영
독일 본 대학의 전문번역 교수법
김인겸
Teaching Korean grammar for beginners: Two different approaches
브로흘로스, 홀머
5. 평가와 교재 개발
한국어 평가 방법에 대한 소고
권용해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언어 참조기준
괴크멘, 에르탄
한국학 내에서의 한국어강좌 학습 목표와 교재
양한주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한국어 문학 수업 개발
프라스키니, 니콜라
부록-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어 있는 유럽 대학교
저자 목록(List of Contribu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