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목차

1. 격 범주의 실현과 의미 기능
1.1 형태격과 의미격
1.2. 구조격과 본유격

2. 한국어 격 범주의 특성과 체계
2.1. 격 범주의 특성
2.1.1. 한국어 격 범주의 특성
2.1.2. 격 범주의 언어 보편적 특성
2.2. 한국어 격 범주의 체계
2.2.1. 격 조사의 형태론적 지위
2.2.2. 한국어 형태격과 의미격 체계

3. 한국어 형태격의 분석
3.1. 격 형태의 확인 방법
3.2. 구조격의 격 형태
3.2.1. 목적격의 분석
3.2.1.1. 목적격의 주요 논점
3.2.1.2. 목적격의 형태와 범주
3.2.1.3. 목적격 할당 절차
3.2.2. 속격의 분석
3.2.2.1. 속격의 주요 논점
3.2.2.2. 속격 할당 절차
3.2.3. 주격의 분석
3.2.3.1.주격의 주요 논점
3.2.3.2. 주격의 형태와 범주
3.2.3.3. 주격 할당 절차
3.3. 본유격의 격 형태

4. 한국어 의미격의 분석
4.1. 의미격의 체계
4.1.1. 격 범주와 의미격
4.1.2. 의미격 설정의 기준과 체계
4.1.3. 의미격 분석의 필수 자질
4.1.4. 의미격의 분석 절차
4.2. 구조격의 의미 기능
4.3. 본유격의 의미 기는
4.3.1. '에'의 분석
4.3.2. '로'의 분석
4.3.3. '와'의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