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한․중 부정법 대조 연구|Fan Kexin

Ⅰ. 서론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B. 연구 방법 및 구성

Ⅱ. 부정법 논의를 위한 기본 개념
A. 긍정과 부정
B. 부정문 성립의 조건
C. 부정법 체계

Ⅲ. 한․중 평서문․의문문 부정법의 대조
A. 평서문․의문문의 한국어 부정법
B. 평서문․의문문의 중국어 부정법
C. 대조 분석

Ⅵ. 한․중 명령문․청유문 부정법의 대조
A. 명령문․청유문의 한국어 부정법
B. 명령문․청유문의 중국어 부정법
C. 대조 분석

Ⅴ.결론


한국어와 중국어의 피동문 대조 연구|Wang Duan

Ⅰ. 서론
A.연구목적 및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Ⅱ. 이론적 배경
A. 피동의 개념과 유형론
B. 한국어 피동문의 유형
C. 중국어 피동문의 유형

Ⅲ.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의 대조 연구
A. 한국어 접미 피동문의 문형
B. 중국어 ‘被’자문의 문형
C. 한국어 접미 피동문과 중국어 ‘被’자문의 특징 대조

Ⅳ.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 대조 연구
A.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의 문형
B. 중국어 ‘遭受’ 피동문의 문형
C.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과 중국어 ‘遭受’ 피동문의 특징 대조

Ⅴ. 결론


한국어와 중국어의 거절 화행 전략 비교 연구|Wu Xiao

I. 서론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B. 선행 연구 검토

II. 거절 화행의 정의 및 전략
A. 거절 화행의 정의
B. 거절 화행의 전략

III. 조사 대상 및 방법
A. 조사 대상
B. 조사 방법

IV. 한국어와 중국어의 거절 화행 전략
A. 전체 거절 화행 전략
B. 부담 정도에 따른 거절 화행 전략
C. 친소관계에 따른 거절 화행 전략
D. 공/사적인 상황에 따른 거절 화행 전략

V. 결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에 관한 연구|Chu Wen Bo

Ⅰ. 서론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B. 선행 연구 검토
C.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A. 요청 화행의 개념
B. 요청 화행의 전략

Ⅲ. 연구 방법
A. 예비 시험
B. 본 실험

Ⅳ. 연구 자료 분석 결과
A. 집단별 전체 분석
B. 상황별 분석
C. 변인별 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