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 론 11
1. 연구 목적과 의의 13
2. 선행 연구 17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23
3.1. 연구 대상 23
3.2. 연구 방법 28
Ⅱ 이론적 배경 35
1. 인지언어학에서의 문법관 37
2. 모습과 바탕의 분화 인지 능력 40
3. 물체와 관계의 윤곽화 44
4. 당구공 모형과 사태 단위 48
Ⅲ 한국어의 동사적 표현구조와 일본어의 명사적 표현구조 53
1. 명사적 표현구조와 동사적 표현구조 55
2. 인지언어학에서의 품사의 범주화 59
3. 한국어 상태동사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64
3.1. [N+A] 구문과 [A+N] 구문 64
3.2. [A+N] 구문과 한국어의 종결어미 66
3.3. 실험조사 분석 73
3.4. 실험조사 결과 82
4. 한국어 존재사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84
4.1. 한국어의 존재사 85
4.2. 일본어의 존재사 88
4.3. 실험조사 분석 90
4.4. 실험조사의 결과 100
5. 한국어 동작동사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101
5.1. 대응 양상의 분류 101
5.2. ‘하다’와 ‘する’ 108
5.3. 실험조사 분석 113
5.4. 실험조사 결과 122
6. 한국어의 동사적 관형절에 대한 일본어의 대응 124
6.1. 대응 양상의 분류 124
6.2. 한국어의 ‘의’와 일본어의 「の」 128
6.3. 실험조사 분석 139
6.4. 실험조사 결과 146
Ⅳ 한국어의 능동구조와 일본어의 피동구조 149
1. 격, 의미역, 문법기능의 상관 관계 151
1.1. 문법기능 층위와 격 층위 152
1.2. 격 층위와 의미역할 층위 160
1.3. 의미역할 층위와 문법기능 층위 170
2. 의미역할과 타동성 174
2.1. 의미역할 설정과 정의 174
2.2. 원형적 타동성과 비원형적 타동성 181
2.3. 인지모형으로 보는 비원형적 타동성과 문법 관계 182
3. 한국어 자동사 표현에 대한 대응 185
3.1. 타동성으로 보는 자·타동사의 경계 185
3.2. 실험조사 분석 190
3.3. 실험조사 결과 206
4. 한국어 타동사 표현에 대한 대응 208
4.1. 타동사 실험조사 분석 211
4.2. 타동사피동 실험조사 분석 223
4.3. 실험조사 결과 244
5. 한국어 사동 표현에 대한 대응 246
5.1. 양국어의 사동의 특징 246
5.2. 실험조사 분석 252
5.3. 실험조사 결과 265
6. 한국어 수여 표현에 대한 대응 267
6.1. 양국어의 수여 표현의 특징 267
6.2. 실험조사 분석 273
6.3. 실험조사 결과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