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6

언어, 권력, 이데올로기, 그리고 주체형성 = 13

조선어에 대한 제국의 시선과 그 대응 = 39
1. 들어가기 = 39
2. 조선어에 대한 제국의 시선 = 44
3. 조선어의 근대 서구 언어적 규범화 = 55
4. 맺음말 = 61

언어와 근대천황제 이데올로기 = 67
1. 언어와 이데올로기 - 사회적 지배관계와 담론의 관계 = 67
2. 헌법이라는 ''문맥'' -「칙어」라는 전문(前文) = 72
3. ''비밀술어(秘密述語)와 ''요마문장(妖魔文章)''으로서의「칙어」 = 75
4. 메이지 이후의 조칙(詔勅) - 천황과 ''신민''의 호응관계 = 78
5. 국가를 탈정치화하는 천황제 = 82
6. ''비일본''에서 ''일본''으로 전생(轉生) - 오리쿠치(折口)민속학의 경우 = 84
7. 부름과 응답이 만드는 ''국민'' = 90

탈식민과 아프리카 언어문제: 영어인가 토속어인가? = 93
1. 들어가며 = 93
2. 유럽문화인가, 아프리카문학인가? = 96
3. 충격과 반성의 문학 : 아체베의『모든 것이 무너져 내린다』 = 108
4. 공감과 실천의 문학 : 응구기의『십자가 위의 악마』 = 116
5. 나가며 = 127

경계의 언어 = 131
1. 서론 = 131
2. ''어학검정고시(語學檢定考試)'' = 134
3. ''만주가나[滿洲カナ]'' = 137
4. ''협화어(協和語)'' = 143
5. 결론 = 146

근현대 언어 권력 지형과 언어 교과의 위상 변화 연구 = 149
1. 들어가기 = 149
2. 소통 권력으로서의 어학과 언어 교과 = 152
3. 국어와 언어 교과의 권력 지형 = 165
4. 언어 권력과 이데올로기 - 맺음말을 대신하여 =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