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서문

1장 총론

2장 쐐기문자와 수메르어의 발견

3장 이란의 페르세폴리스 새김글 판독과 초기 공헌자들
1. 페르세폴리스에 대한 정보
2. 고대 페르시아어의 쐐기문자 판독시작
3. 팔레비(pahlevi)문자

4장 고대 페르시아어 쐐기문자 판독가들
1. 그로테펜드(Georg Friedrich Grotefend: 1775-1853)
2. 헨리 로린슨(Henry Rawlinson 1810-1895)
3. 에드워드 힝크스(Rev. Edward Hincks: 1792-1866)
4. 베히스툰의 새김글 내용

5장 엘람어 쐐기문자 판독가와 문자 형태
1. 엘람어 판독가들
2. 신-엘람어(Neo-Elamite)문자의 발견과 판독
3. 엘람어와 문자의 역사

6장 아카디아어 쐐기문자 판독가들
1. 아카디아어의 특징
2. 아카디아어 쐐기문자 판독가들

7장 바빌로니아어와 아시리아어의 쐐기문자 발굴자들
1. 아베 보샴(Abb? Beauchamp)
2. 제임스 리치(Claudius James Rich: 1787-1821)
3. 폴 이마일 보타(Paul Emile Botta 1802-1870)
4. 헨리 레이야드(Austen Henry Layard)

8장 수메르어 쐐기문자 판독
1. 수메르어 쐐기문자 판독계기
2. 수메르어의 특징
3. 수메르문자의 추적
4. 수메르인의 기원에 대한 여러 의견들
5. 쐐기문자를 수메르어로 또는 아카디아어로 읽을 것인가 문제

9장 쐐기문자 판독에 로린슨과 힝크스의 협조와 갈등
1. 로린슨의 초기역할
2. 로린슨과 베히스툰 새김글과 인연
3. 아카디아어 쐐김글 판독에서 로린슨과 힝크스의 공헌

10장 쐐기문자를 차용한 언어들
1. 에블라어(Eblaite)
2. 엘람어(Elamite)
3. 힛타이트어(Hittite)
4. 후르리어(Hurrian)
5. 우라르트어(Urartian)
6. 우가리트어(Ugaritic)
7. 고대 페르시아어(Old Persian)

11장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연대기
1. 수메르 도시국가 이전
2. 수메르의 초기 왕조시대(Early Dynastic: B.C. 2900-2600)
3. 구티(Gutians)의 침입 시대
4. 우르 제3 왕조(Third Dynasty of Ur) 시대
5. 이신(Isin) 왕국 시대
6. 라르사 왕조 시대
7. 카사이트제국
8.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통치 시대 종합

12장 수메르인의 문자해득능력과 서자생 교육

13장 쐐기문자 발달과정
1. 글자의 방향전환과 글쓰기 도구의 변화
2. 쐐기문자 이전의 선형 문자
3. 선형문자에서 쐐기문자로의 전환
4. 쐐기 획의 다양한 모양

14장 메소포타미아 거주자들
1. 수메르인
2. 셈족의 이주
3. 수메르어-아카디아어

15장 아카디아어를 표기하는 문제
1. 언어적인 차이점
2. 수메르문자가 아카디아어를 표기 시작 과정과 그 시기
3. 아카디아어 시기별 구분
4. 아카디아어의 문자표기

16장 쐐기문자 발명자에 대한 논쟁
1. 수메르인의 발명이 아니라는 주장
2. 수메르인의 발명이라는 주장

17장 수메르 문자의 한계와 보완책
1. 동음이의어(homophony)와 동형 다음다의어(polyphony)
2. 한정사와 음성보어
3. 원시 초기 글자의 90°방향 전환
4. 글쓰는 방향전환
5. 문자발명의 이유
6. 표의문자에서 음절문자로
7. 서자생의 훈련과 역할

18장 새로 제기된 쐐기문자 발명 이론
1. 물표 이론의 제기
2. 물표에 표시가 문자로 전환
3. 석기시대의 의사교환
4. 베세라트 교수의 저서 “How Writing Came About”에서의 주장

19장 쐐기문자의 소멸

20장 쐐기문자 판독으로 알게 된 정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