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머리말

0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법위
1.3. 연구 방법 및 자료
1.4. 선행연구 검토

02. 의문법 어미와 관련한 기초적 논의
2.1. 의문문의 개념 및 종류
2.2. 의문문의 실현 방식
2.3. 의문법 어미와 관련된 문법범주
2.3.1. 문장종결법
2.3.2. 시제, 서법, 양태
2.3.3. 청자높임법

03. 고대국어의 의문문 실현 형식
3.1. '녀/뇨'계 의문 형식
3.2. '려/료'계 의문 형식
3.3. 의문 형식 '-ㄹ가', '-ㄴ고'
3.4. 그 외 의문문 실현 형식
3.5. 의문문 실현 형식의 발달 순서

04. 중세국어의 의문법 어미
4.1. 전기 중세국어의 의문법 어미
4.1.1. '녀/뇨'계 의문어미
4.1.2. '려/료'계 의문어미
4.1.3. 2인칭 의문어미 '-ㄴ뎌', '-ㄹ뎌'
4.1.4. 의문어미 '-ㄴ가/-ㄴ고', '-ㄹ가/-ㄹ고'
4.1.5. 의문문 실현 형식의 발달 순서
4.2.후기 중세국어의 의문법 어미
4.2.1. '녀/뇨'계 의문어미
4.2.2. '려/료'계 의문어미
4.2.3. 2인칭 의문어미'-ㄴ다', '-ㄹ다'
4.2.4. 의문어미 '-ㄴ가/-ㄴ고', '-ㄹ가/-ㄹ고'
4.2.5. 그 외 의문법 관련 어미 및 형식

05. 근대국어의 의문법 어미
5.1. 의문어미 체계 전반의 설명 대 판정의 구별 상실
5.2. '-ㄴ다', '-ㄹ다'의 쇠퇴와 '녀/뇨'계 어미의 세력 확장
5.3. '려/료'계 어미의 쇠퇴와 '녀/뇨'계 어미의 세력 확장
5.4. 의문어미 '-ㄴ가/-ㄴ고', '-ㄹ가/-ㄹ고'의 기능 변화
5.5. 의문어미 '-니','-리', '-ㄹ소냐','-ㄹ손가'
5.6. 그 외 의문법 관련 어미 및 형식

06. 의문법 어미와 다른 문법범주 변화와의 관련성
6.1. 반말어미의 세력 확장과 의문문 실현 방식의 변화
6.1.1. 반말어미를 통한 의문문 실현의 확장
6.1.2.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과 의문문 실현
6.2. 시제 및 양태 선어말 어미와 의문법 어미의 변화
6.2.1. '-리-'의 기능 쇠퇴와 '려/료'계 의문어미의 세력 축소
6.2.2. '-리-', '-갯-'의 교체와 '녀/뇨'계 의문어미의 세력 확장
6.2.3. '-엇-'의 형성과 '녀/뇨'계 의문어미의 시제 특성 변화
6.3. 청자높임법의 실현 방식과 의문법 어미의 변화
6.3.1. '-삽(이미지참조)', '-이-'의 쇠퇴와'-습니까', '-오/소'의 형성
6.3.2. '요'의 형성과 청자높임 실현의 변화

07. 결론
7.1 논의 요약
7.2 의의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

표차례
〈표1-1〉 대상 문헌 자료 목록 및 약호
〈표3-1〉 고대국어 의문문 실현 형식의 발달 순서
〈표3-2〉 고대국어 의문 형식의 체계
〈표4-1〉 전기 중세국어 음독구결의 의문 형식 체계
〈표4-2〉 '려/료'계 의문어미 및 '-ㄹ다'의 공통점 및 차이점
〈표4-3〉 '려/료'계와 '녀/뇨'계 의문어미 통합구성과의 관련성(하쇼셔체(이미지 참조))
〈표4-4〉 '려/료'계 어미와 '-ㄹ다', '녀/뇨'계 어미와 '-ㄴ다' 통합구성과의 관련성(하라체(이미지참조))
〈표4-5〉 '-ㄹ가/-ㄹ고'와 '-ㄴ가/-고' 의문어미 통합구성과의 관련성
〈표4-6〉 후기 중세국어 의문법 어미의 체계
〈표5-1〉'-ㄴ다'의 시기별 출현 문헌 및 빈도
〈표5-2〉 '-ㄹ다'의 시기별 출현 문헌 및 빈도
〈표5-3〉 근대국어 의문법 어미의 체계
〈표6-1〉 시제와 관련된 의문어미 사용의 변화(예-'가다')
〈표7-1〉 국어 의문법 어미의 역사적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