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3

제1부_ 식민지 시기 전후의 언어 의식과 사상

-'국어國語'를 찾아서 - 주시경의 경우Ⅰ김병문 13
  1. 들어가는 말 13
 2. 주시경의 이력에 관한 몇 가지 의문 17
 3.'국문''과 '국어'의 사이에서 22
 4.'국어國語'의 발견 30
 5. 언어적 근대, 그 '소외의 언어 사상' 51

- 식민지 시기 전후, 근대 국어 의식의 형성에 대하여Ⅰ조태린 57
 1. 두 가지 관심 57
 2. 서구에서의 근대 국민어 의식 형성 - 이론적, 보편적 접근 59
 3. 서구에서의 근대 국민어 의식 형성 - 역사적, 특수적 사례 69
 4. 근대 국어 의식의 형성, 그 보편성과 특수성 79
 5. 글을 나오며 85

- 가나자와 쇼자부로와金?庄三?와 조선어Ⅰ이시카와 료코 91

- 시대 전환기에 대한 최현배와 페스탈로치의 대응Ⅰ김하수 121
  1. 들어가기 121
 2. 시대의 문제 123
 3. 페스탈로치와 교육 133
 4. 최현배와 페스탈로치의 교육론 136
 5. 잠정적인 결론 141


제2부_ 식민지 시기 전후의 언어 교육과 정책

- 노래로 익히는 '국어' - 식민지기 조선에서의 창가와 언어교육Ⅰ임경화 147
  1. 머리말 147
  2. 소리의 규범화-속가(俗歌),불온 창가,교육창가,의식창가 155
 3.'국어'와 창가의 연락-교과통합교육과 예술교육운동 167
 4. 노래하는 문자보급운동 178
  5. 음반으로 듣는 조선어독본 186
 6. 맺음말 194

- '지배를 위한 조선어 학습'을 생각한다Ⅰ야마다 간토 197
  1. 들어가며 197
 2.조선어장려정책의 대상이 된 관리 199
 3.조선어시험제도의 문제점 204
 4.조선어 학습의 동기의 다양성 207
 5.나오며 215

- '제국 일본'과 영어교육 - 오카쿠라 요시사부로를 중심으로Ⅰ윤수안 219
 1. 머리말 245
 2. 영어교육의 목적 224
  3. 영어 교과서의 내용 분석 225
 4. 영어존폐론 236
 5. 맺음말 242

- 식민지 시기 조선에서의 식자識字조사Ⅰ이타가키 류타 245
 1. 머리말 245
 2. 조선 국제조사에서의 식자 조사 254
 3. 농민에 대한 식자 조사 273
 4. 노동자에 대한 식자 조사 292
 5. 범죄자 및 도시 빈민에 대한 식자 조사 297
 6. 맺음말 306

- 해방 직후 북한에서의 한자 폐지에 대하여Ⅰ고영진 311
 1. 들어가는 말 311
 2. '한자제한','한자폐지'인가? 314
 3. 한자폐지론의 승리 347
 4. 맺는 말 351